<--!구글 서치콘솔--> 체계론적 가족치료(가족 삼각관계, 가족 경계)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체계론적 가족치료(가족 삼각관계, 가족 경계)

by &@#*$ 2022. 9. 14.

체계론적 가족치료에서 체계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여러 요소들의 복합체이며 부부 체계, 부모- 자녀 체계, 자녀 체계 등 여러 가지 가족의 하위 체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체계의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며 모든 가족체계는 경계를 가지고 있고 가족체계의 한 변화는 다른 체계의 변화를 이끕니다. 또한 가족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변화에 지속적으로 반응하게 됩니다.

가족치료의 전제 조건

① 가족은 여러 가지 하위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②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③ 모든 가족체계는 경계를 가지고 있다.
④ 가족체계의 한 변화는 다른 체계의 변화를 이끈다(상호의존성과 상호작용성)
⑤ 가족은 가족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변화에 대해 지속적으로 반응하게 된다.
⑥ 가족관계에 대해 선형적 인과관계가 아닌 순환적 인과관계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모든 가족체계는 경계를 가지고 있다.
모든 가족체계는 경계를 가지고 있다

주요 개념

하위 체계(subsystem) : 가족체계의 기본적 구조 단위이다.
가족규칙(family rule) : 명문화되어 있지 않지만 오랜 기간 동안 반복 과정을 통해 성립된 것으로 은연중에 가족 구성원에게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끼치고 있는 가치관, 약속을 말한다. 가족규칙이 너무 제한적이거나 독단적이면 가족의 반발을 사고 경직되게 한다.
질서와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규칙과 함께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을 허용하는 규칙이 되어야 기능적인 가족이 될 수 있다.

  • 예) 밤 11시까지는 귀가해야 한다./ 정신병원에 있는 큰아버지 이야기는 입 밖에 내면 안 된다.

가족 경계(family boundary)

  • 미누친(Salvador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하위 체계들 간의 정보 교류나 의사소통의 양과 흐름에 영향을 주게 된다.
  • 경계선이 명확한지 밀착되어 있는지 분리되어 있는지에 따라 애매한 경계선, 명료한 경계선, 경직된 경계선으로 구분된다.
  • 하위 체계 간의 경계가 명료한 가족이 건강하며, 경계가 애매한 가족은 개인의 문제에 모든 가족 구성원이 휘말려 있게 된다.
  • 경계가 너무 개방되어 있으면 가족관계는 융합되어 가족 구성원들은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다른 사람들의 것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밀착된 가족), 경계가 너무 폐쇄되어 있으면 관계는 유리되거나 단절된다(격리된 가족).


가족 항상성(family homeostasis)

  • 가족이 일정한 상태나 바람직한 균형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경향을 말한다.
  • 가족 간의 균형적 상태가 위협을 받게 되면 마치 온도에 따라 조절되는 자동 난방장치처럼 따뜻한 상태로 회귀하려는 본능적 현상이다.

가족 삼각관계(family triangle)

  • 시어머니와 남편, 며느리의 삼각관계 : 외도, 알코올, 일, 친구, 상담자 등과 삼각관계 구성
  • 일반적으로 가족 구성원의 자아 분화의 수준이 낮을수록 가능성이 더 커지고 관계가 중요할수록 삼각관계 형태가 좀 더 강하게 나타난다.
  • 모든 삼각관계가 문제 되는 것은 아니고 개인이나 가족관계가 생산적이고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데 일시적인 도움을 주기도 한다.

가족 신화(family myths)

  • 가족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생각이나 신념을 의미(예-부모의 말에는 절대 순종해야 한다)
  • 가족 구성원의 행동을 결정해주기도 하며 때로는 가족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가족관계를 파괴할 정도로 위협적이고 강도 높은 긴장을 유발하기도 한다.
  • 부부끼리는 비밀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이상적인 부부는 절대 싸우면 안 된다 등
  • 신화는 응집성과 안정을 보장하여 개인에게 방어기제와 같은 기능을 하기도 하지만 청년기 자녀가 가족체계에서 분리하려고 할 때 파괴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부모화(parentification)

  • 어떤 자녀가 가족 내에서 부모나 배우자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는 것 → 자신의 나이에 걸맞지 않게 지나친 책임감, 능력, 자율성 등을 발전시킬 수 있다.
  • 대가족, 한 부모 가족, 맞벌이 부부 가족에서 흔히 발견되는 현상이다.
  • 자녀가 심리적인 압박감을 느끼게 되며 자녀가 달성해야 할 다른 측면의 발달 과업을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게 되는 위험성이 따른다.

가족치료에서 보는 문제행동

① 하위 체계의 경계가 경직되거나 혼란되어 있으며, 가족의 요구에도 변화하지 않는다.
② 가족규칙이 명확하지 않으며 경직되어 있다.
③ 가족 구성원의 역할이 경직되어 있거나 모호해서 가족 성원은 자신에게 요구되는 기대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알지 못한다.
④ 개인의 자율성이 가족 전체를 위해 희생되거나 반대로 가족이 통합되지 못해 지나친 자율이 요구된다.
⑤ 의사소통은 애매하고 간접적이고 권위적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