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즈버그(Ginzberg)의 진로발달 이론은 진로선택에 대한 특성요인 접근이 가지는 진로에 대한 고정적이고 일회적인 관점을 비판하면서 진로에 대한 발달적 관점을 최초로 제안하였습니다. 인간의 신체와 정신이 발달하는 것처럼 직업에 대한 지식, 태도, 기능도 여려서부터 일련의 단계를 거치면서 발달해 나간다는 입장입니다. 진로선택의 과정은 비가역적이라서 나중에 이루어지는 결정은 그 이전 결정의 영향을 받는다고 봅니다.
이론의 특징
① 개인은 자신의 욕구, 능력, 가치관, 흥미 등의 내적 요인과 가정환경, 부모의 영향, 직업 조건 등의 외적 요인 간의 타협을 통해 직업선택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능력은 나이가 들수록 발달한다는 것이다.
② 직업선택은 삶의 어느 한 시기에 이루어지는 일회적인 사건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발달하는 일련의 의사결정 과정으로 보았다.
③ 직업선택의 네 가지 요인으로 가치관, 정서적 요인, 교육의 양과 종류, 실제 상황적 여건을 말한다.
직업선택 과정의 단계
① 환상적 직업선택 단계(6 ~ 10세) : 현실적인 여건이나, 자신의 능력이나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욕구만을 중시하는 시기이다. 무엇이든 하고 싶고, 하면 된다는 식의 환상 속에서 비현실적인 선택을 하는 경향을 갖게 된다.
② 잠정적 직업선택 단계(11 ~ 17세) : 자신의 흥미나 취미에 따라 직업선택을 하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능력과 가치관 등의 요인도 조금 고려하지만 현실을 별로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다분히 비현실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구 분 | 내 용 |
흥미단계(11 ~ 12세) | 자신의 흥미나 취미에 따라 직업을 선택하려 한다. |
능력단계(13 ~14세) | 개인은 자신의 능력을 시험해 보고자 하고, 이 세상에 다양한 직업들이 있고 보수나 작업조건 등이 다르다는 것을 처음으로 인식하게 된다. 자신의 능력을 고려하지만 극히 피상적이고 불완전한 수준이다. |
가치단계(15 ~ 16세) | 직업 선택 시에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함을 인식하게 되고 자신이 좋아하는 직업에 관련된 모든 정보들을 알아보려고 하며, 그 직업이 자신의 가치관 및 생애목표에 부합하는지 평가해 본다. |
전환단계(17세 전후) | 개인은 자신의 현실적인 외부요인에 눈 돌리게 되며, 자신의 결정이 장래의 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현실인식을 하게 된다. |
현실적 직업선택 단계 (18 ~ 22세) |
자신의 흥미, 능력, 가치, 취업의 기회 뿐 아니라 직업의 요구조건, 교육기회, 개인적 요인 등과 같은 현실요인을 고려하고 타협해서 결정 * 탐색단계 : 자신의 직업선택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교육이나 경험을 쌓으려고 노력하는 단계 * 구체화 단계 : 직업목표를 정하고, 자신의 결정에 관련된 내적, 외적 요소를 종합할 수 있는 단계 * 특수화 단계를 거침 : 자신이 한 결정을 더욱 구체화시키고, 더욱 치밀한 계획을 세우는 단계 |
평 가
① 공헌점
- 발달의 초기 단계에는 개인의 흥미, 능력, 가치관이 중요하지만 종국에 가서는 이러한 것들과 외적 조건과의 타협에 의해서 직업선택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 진로지도에 필요한 개인의 진로의식 성숙의 규준을 제공하고 진로선택 과정에서 단계별 문제의 발견과 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② 한계점
- 여러 계층의 사람들에게 이러한 규준을 일반화시키는 데 문제가 있다.
- 20대 후반의 직업선택에 대한 규준은 제시하지 않는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계론적 가족치료(가족 삼각관계, 가족 경계) (0) | 2022.09.14 |
---|---|
진로의사결정 이론과 진로의사결정 모델 (0) | 2022.09.13 |
파슨스의 특성요인 이론(직업 정보의 세가지 기능, 검사 해석하는 방법) (0) | 2022.09.08 |
프롬의 성격유형(6가지 심리적 기본 욕구, 생산적 비생산적 성격유형) (1) | 2022.09.07 |
로(Roe)의 욕구이론(가정분위기에 따른 직업 지향성, 육아방식에 따른 직업 지향성) (0) | 2022.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