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성숙도 검사(Career Maturity Inventory)는 자아의 이해와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를 기초로 하여 자기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고 선택하는 과정에서 동일 연령이나 발달단계에 있는 집단의 발달과업 및 수행의 정도에서 차지하는 개인의 상대적인 위치라고 한국 교육개발원에서 정의하고 있습니다.
진로성숙도 검사
내담자가 속해 있는 진로발달단계를 객관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Crites가 개발하였다. CMI는 진로상담의 사전, 사후 평가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진로상담의 효과와 그와 관련된 경험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민감한 효과를 나타낸다. 진로선택에 관한 태도와 의사결정 능력의 관점에서 학생들의 진로성숙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척도로서 태도 척도와 능력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 척도
① 태도 척도
구 분 | 내 용 |
진로결정성 | 선호하는 진로의 방향에 대한 확신의 정도(예 - 나는 선호하는 진로를 자주 바꾸고 있다) |
참여도 | 진로선택과정에의 능동적 참여 정도(예 - 나는 졸업할 때까지는 진로선택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겠다) |
독립성 | 진로선택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정도(예 - 나는 부모님이 정해주시는 직업을 선택하겠다) |
성 향 |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전이해와 준비의 정도(예 - 일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하는 바가 거의 없다) |
타협성 | 진로 선택시에 요구와 현실을 타협하는 정도 (예 - 나는 하고 싶기는 하나, 할 수 없는 일을 생각하느라 시간을 보내곤 한다) |
② 능력 척도
- 진로의사결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지식 영역을 평가한다.
- 자기 평가, 직업정보, 목표 선정. 계획, 문제 해결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활용
진로의사 결정 과정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제기되는 미결정(indecision)과 비현실성(unrealism)의 분석뿐 아니라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요인을 찾아내는 데 유용하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청의 방법(경청 행동)과 생산적인 경청의 태도 (0) | 2022.12.07 |
---|---|
현실요법 집단상담 (0) | 2022.12.06 |
스트롱 검사(스트롱 흥미검사) (0) | 2022.12.05 |
집단상담의 기법(내용적 기법) (1) | 2022.12.04 |
집단상담의 기법(변화촉진 분위기 조성, 과정적 기법) (0) | 2022.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