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지능의 정의, 웩슬러의 지능관,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지능의 정의, 웩슬러의 지능관,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

by &@#*$ 2023. 1. 10.

지능의 일반적인 정의를 학자들 별로 특히, 웩슬러의 지능관에 대해 살펴보고, 카텔에 의해 인간의 지능을 구분하고 카텔의 주장을 토대로 혼이 특징적 양상에 대해 연구한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지능의 일반적인 정의 

학습능력

  • 지능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능력 또는 유익한 것을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지능이 높은 사람은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 높은 반면, 지능이 낮은 사람은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 낮다. 
  • 주요 학자 : 게이츠(Gates) , 디어본(Dearborn) 등

적응능력

  • 지능은 전체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자, 생활상의 새로운 문제와 상황에 대처하는 정신적 적응력이다. 
  • 지능이 높은 사람은 새로운 환경의 변화에 비교적 잘 적응하는 반면, 지능이 낮은 사람은 잘 적응하지 못하는 양상을 보인다.
  • 주요 학자 : 피아제(Piaget), 스턴(Stern), 핀트너(Pintner)등

추상적 사고능력

  • 지능은 추상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자, 이를 구체적인 사실과 연관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 지능이 높은 사람은 자신이 소유한 지식을 통해 구체화된 현상을 파악하는 동시에 이를 서로 연관시킬 수 있다. 
  • 주요 학자 : 터만(Terman), 스피어만(Spearman), 서스톤(Thurston)등

종합적, 전체적 능력(포괄적 정의)

  • 지능은 어떠한 목적을 향해 합리적으로 행동하고 체계적으로 사고하며, 환경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유기체의 종합적인 능력이다. 
  • 지능이 높은 사람은 학습능력, 적응능력, 추상적 사고능력 등을 통해 성공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 주요 학자 : 웩슬러(Wechsler)등

조작적 정의

  • 지능은 지능검사에 의해 측정된 것이다. 
  • 정의로서는 명확하나 지능의 정신적인 본질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지는 못하다. 
  • 주요 학자 : 프리만(Freeman)등

웩슬러의 지능관

웩슬러(Wechsler)는 개인이 합목적적으로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환경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총합적, 전체적인 능력을 지능이라고 하였다. 그는 지능의 다요인적 중다결정적 측면을 강조하며, 지능이 유전적 요인은 물론 초기의 교육환경, 정서적 상태, 기질적 기능적 정신장애, 검사 당시의 상황 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그의 지능관은 의욕이나 성격 등의 비인지적 요인을 포함한 다면적 구성체로서의 지능을 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

① 카텔(Cattell)은 인간의 지능을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으로 구분하였으며, 혼은 이를 토대로 각 지능별 특징적 양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② 유동성 지능은 유전적 신경생리적 영향에 의해 발달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새로운 문제에 대한 대처능력과 연관된다.

③ 결정성 지능은 학습에 의한 획득과 경험에 의한 누적에 의해 형성되는 후천적 능력과 연관된다.

④ 유동성 지능은 경험이나 학습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반면, 결정성 지능은 교육 및 가정환경, 문화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⑤ 기억력, 추리력, 추론능력 등이 유동성 지능에 해당하는 반면, 문제해결능력, 언어능력, 산술 및 기계적 지식 등은 결정성 지능에 해당한다.

⑥ 유동성 지능은 신체적 요인에 따라 청소년기에 이르기까지 발달이 이루어지다가 이후 퇴보현상이 나타나는 반면, 결정성 지능은 나이가 들수록 더욱 발달하는 경향이 있다.

⑦ 혼(Horn)은 웩슬러 지능검사의 소검사에서 '빠진 곳 찾기, 차례 맞추기, 토막 짜기, 모양 맞추기, 공통성 문제, 숫자 외우기'가 유동성 지능을 반영하며, '기본지식, 어휘문제, 공통성 문제, 이해문제'가 결정성 지능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