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는 자기 자신에 대해서 끊임없이 탐구하며 알아가는 시기입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본인 스스로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나 상황에서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행동하는지 궁금해하기도 하며 의문을 갖기도 합니다. 사회문화적인 영향을 받고 성장하면서 나는 누구이며 나의 진짜 모습을 알고 싶어 합니다. 엘킨드와 마르시아를 중심으로 청소년기 자아중심성과 청소년 정체성 이론을 알아보겠습니다.
엘킨드(Elkind)의 청소년기 자아중심성 이론
① 상상적 청중(Imaginary Audience)
- 청소년기의 과장된 자의식으로 인해 자신이 타인의 집중적인 관심과 주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믿는 것을 말한다.
- 청소년은 상상적 청중을 만들어내어 자신은 주인공이 되어 무대 위에서 서 있는 것처럼 행동하고, 다른 사람들은 모두 구경꾼이라고 생각한다.
-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관심의 초점으로 생각한다고 믿기 때문에 그들은 '관중'이고 실제적인 상황에서는 자신이 관심의 초점이 아니므로 '상상적'이라 할 수 있다.
② 개인적 우화(Personal Fable)
- 청소년기 특유의 비합리적이고 허구적인 자아관념을 말한다.
- 자신의 우정이나 사랑 등을 타인은 결코 경험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다른 사람이 경험하는 죽음이나 위험 혹은 위기가 자신에게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며, 혹시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피해를 입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하는 관념이다.
- 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으로 인해 청소년들은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 달리 특별하고 독특한 존재이며, 자신의 사고, 감정, 경험 세계는 다른 사람과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믿는 개인적 우화에 빠져든다.
마르시아(Marcia)의 청소년 정체성 이론
① 정체감 성취
- 정체성 위기와 함께 정체감 성취에 도달하기 위한 격렬한 결정과정을 경험한다.
- 청소년은 어느 사회에서나 안정된 참여를 할 수 있고 , 상황 변화에 따른 동요 없이 성숙한 정체감을 소유할 수 있다.
② 정체감 유예
- 정체성 위기로 격렬한 불안을 경험하지만 아직 명확한 역할에 전념하지 못한다.
- 청소년은 자신의 능력과 사회적 요구, 부모의 기대 사이에서 고민한다.
③ 정체감 상실
- 정체성 위기를 경험하지 않았음에도 사회나 부모의 요구와 결정에 따라 행동한다.
- 청소년은 외면적으로는 본인의 결단 지점을 통과한 것처럼 보이지만 내면적으로는 통과하지 못한 상태이다.
④ 정체감 혼란
- 정체성 위기를 경험하지 않았으며 명확한 역할에 대한 노력도 없다.
- 청소년은 일을 저지르지도, 책임을 지려하지도, 의심하지도 않으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없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웩슬러 지능검사(K-WAIS)의 언어성 검사 구성과 측정 내용 (0) | 2023.01.12 |
---|---|
지능의 정의, 웩슬러의 지능관,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 (0) | 2023.01.10 |
사회지각에서 인상형성 (0) | 2023.01.07 |
사회기술훈련(주요기술, 사회기술훈련의 단계) (0) | 2023.01.06 |
로저스의 참만남 집단의 15단계 과정 (0) | 2023.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