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집단상담에서 자주 사용되는 구조화 활동과 평가의 실시시기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집단상담에서 자주 사용되는 구조화 활동과 평가의 실시시기

by &@#*$ 2023. 1. 13.

집단상담에서는 구성원들 간 관계와 역동성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심리치료 효과가 발휘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전에 참여한 모든 인원이 일정 수준 이상의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이를 '구조화 활동'이라고 합니다. 집단상담에서 자주 사용되는 구조화 활동을 알아보고, 집단상담의 평가 실시 시기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집단상담 구조화 활동 - 초기 자기소개 활동

① 둘씩 짝지어 자기 소개하기

둘씩 짝지어 자기소개를 한 후, 앞으로 나와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상대방이 되어 자기를 소개한다.

 

중요한 타인 되어 자기소개하기

집단전체 앞에 빈 의자를 두고 자신이 가장 잘 아는 한 사람을 선정한 후 빈 의자에 앉아있다고 가정하고 자신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이 되어 자기를 소개한다.

 

별칭 지어 자기소개하기

집단에서 불려지기를 원하는 별칭을 짓고, 왜 그런 별칭을 짓게 되었는지 말하며 소개한다.

집단상담 구조화 활동 - 중기활동

가치관 경매

가치관 목록표와 일정액의 돈을 나눠주고 구입예산을 할당하게 한 후, 가치항목별로 경매를 해서 가장 높은 금액을 부른 사람이 원하는 가치를 살 수 있다.

 

문장완성 

집단원들에게 몇 가지 문장을 제시하고 , 이를 완성하여 발표하게 하는 것이다.

 

추웠던 기억/따뜻했던 기억 

기억할 수 있는 경험 중 가장 추웠던 기억과 따뜻했던 기억을 떠올리고 그러한 기억이 현재의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야기하기

 

집단상담 구조화 활동 - 마무리 활동

묘비명(유서) 쓰기

24시간 후에 죽는다는 가정 하에 어떻게 24시간을 이용할 것인지 생각하고, 묘비명 또는 유언을 써서 이를 집단원에게 발표한 뒤 생각을 나눈다.

 

이제야 당신에게 말합니다

자신의 생활을 돌아보면서 해결하지 못한 문제와 갈등에 대해 생각하고 그동안 여러 가지 이유로 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이제야 처음으로 당신에게 이야기합니다"라는  말로 시작하는 편지를 써서 집단에서 발표한다.

 

피드백 주기 

한 사람이 피드백하고 싶은 다른 사람 앞으로 가서 손을 잡고 진심 어린 피드백을 전해준다. 피드백을 받은 사람은 고맙다고 인사하고 자신이 피드백을 주고 싶은 다른 집단원에게 간다. 이런 활동을 반복하여 전체 집단원 모두 경험하게 한다.

 

카드피드백

각 집단원의 이름이 적혀있는 카드를 돌리면서 집단경험을 통해서 비추어진 모습과 하고 싶은 말을 적게 하여 본인에게 전달한다.

 

장점세례

집단원 중에서 한 사람을 지정된 자리에 앉히고 집단원들이 솔직하게 자리에 앉은 집단원의 장점을 일제히 폭탄세례 하듯이 이야기한다.

 

갈등해소와 통합

갈등이나 미해결 과제의 해소를 통해 통합과 집단 참여의 목적을 이룬다.

 

 

집단상담의 평가의 실시시기

 

매 모임이 끝날 무렵

  • 모임의 전체 길이가 2시간 정도 될 경우, 약 15분 정도의 시간을 평가에 할애할 수 있다.

집단상담 기간의 중간과 마지막

  • 전체 집단과정의 중간에 온전히 한 번의 모임을 할애하여 평가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 사전에 평가의 시기를 정하고, 모든 집단성원으로 하여금 미리 준비하도록 해야 한다.
  • 집단상담의 전 과정이 끝날 무렵에 한 번 혹은 두 번의 모임을 할애하여 집단상담의 전체 경험에 대해 평가를 해야 한다. 이 경우 집단경험 전반에 대한 집단성원의 반응을 다루는 것과 개개 집단성원의 행동목표의 달성도에 대해 평가하는 두 가지 측면이 포함된다.
  • 평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집단성원 상호 간에 솔직한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어야 한다.
  • 집단상담자는 정직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드는데 유의해야 한다.

추후평가

  • 집단상담의 전 과정이 끝나고 2~3개월이 지난 후에 집단경험이 일상생활에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그때의 변화가 어느 정도 계속되고 있으며, 집단상담의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등에 대해 평가해 볼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