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심리검사의 올바른 해석을 위한 해석지침/해석 상담시 주의해야 할 사항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심리검사의 올바른 해석을 위한 해석지침/해석 상담시 주의해야 할 사항

by &@#*$ 2023. 5. 26.

심리검사의 올바른 해석은 심리검사 결과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과학적으로 타당한 방법으로 해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올바른 해석을 위해 따를 수 있는 해석지침과 또한 해석 상담 시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해석의 기본관점 수립과 검사 개요 이해

검사 결과의 해석은 단순히 측정된 결과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므로, 검사자는 검사 결과를 해석하는 기본관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검사자는 무엇보다도 검사 점수가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수립해야 한다. 또한 검사의 목적, 특성, 측정하는 심리적 특성, 제한 사항 등을 잘 이해하고 검사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를 파악한다.

심리검사
심리검사

다면적 해석과 비판적 사고

심리검사 결과를 해당 검사의 여러 측면을 고려하여 개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해석해야 하며, 여러 검사 결과와 다른 정보를 통합하여 심리적 특성을 평가하는 다면적인 해석이 되어야 한다. 또한 자신의 편견이나 선입견을 배제하고 오류를 줄이기 위해 다른 전문가와 의논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검사를 하는 등 검사 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비판적 사고를 갖추어야 한다.

 

개인 간 차이와 개인 내적 차이의 명료화

미술적성검사에서 A는 68점, B는 72점을 받았다고 가정할 때 해당 점수만으로 B가 A보다 미술재능이 더 뛰어나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측정된 두 점수에 측정의 오차가 개입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심리검사는 최소 2개 이상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프로파일 형태를 보고 개인 내적인 차이를 해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하위척도 점수 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밝힐 수 없다면, 그 결과를 객관적이고 정확하다고 단언하기 어렵다. 따라서 개인 간 차이를 밝히기 위해 측정의 표준오차(Standard Error of Measurement)를 사용하고, 개인 내적 차이를 밝히기 위해 차이의 표준오차(Standard Error of difference)를 사용한다.

정확한 측정도구 사용과 측정오차를 고려한 해석

심리검사는 특정한 절차와 지침을 따라 수행, 관리하며 점수를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 제공된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심리검사를 통해 얻은 점수는 측정치로서, 사실상 모든 측정치는 진 점수와 함께 어느 정도 오차점수를 포함한다. 따라서 검사자는 검사 과정과 결과에서 어떤 종류의 오차가 어느 정도 개입되어 있는지를 항상 확인해야 한다.

 

심리검사 결과 해석 상담 시 주의해야 할 사항
  • 내담자가 검사 결과를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보여 주며,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이 직면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얻기 위해 검사 정보를 직접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 해석 과정이 시작되기 전에 내담자에게 자신이 받은 검사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물어보도록 한다.
  • 논의될 검사가 어떤 것인가를 내담자에게 상기시키면서 검사 결과에 대해 논의하도록 한다.
  • 검사 결과를 내담자가 가진 다른 정보와의 관계 속에서 논의하도록 한다.
  • 전문적인 용어를 삼가고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써 검사의 목적을 제시한다.
  • 검사 결과에 대한 언어적인 해석과 함께 도식적인 제시를 병행한다.
  • 내담자의 검사 결과를 지나치게 규정짓는 것을 삼간다.
  • 면접이 끝날 무렵 전체 면접의 결과를 요약하되 내담자 스스로 직접 요약해 보도록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