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MMPI-2 임상 소척도(척도2 우울증, 척도3 히스테리, 척도4 반사회성)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MMPI-2 임상 소척도(척도2 우울증, 척도3 히스테리, 척도4 반사회성)

by &@#*$ 2023. 5. 30.

MMPI-2의 임상소척도는 개인의 심리 상태와 성격특징, 정신적 장애 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척도로 심리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MMPI-2 임상척도 중 소척도로 구성된 6 개척도중 척도 2 우울증, 척도 3 히스테리, 척도 4 반사회성 척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척도 2 (우울증, D)

슬픔, 좌절감, 절망 등 우울한 기분과 자신에 대한 비판적 태도와 과소평가, 열등감을 반영한다. 높은 점수의 피검자들은 우울하고 풀이 죽어있으며 희망이 부족하고 비관적이며 근심이 많고 과민하다. 또한 무기력하며 지나치게 억제적이며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에 대한 자책감이 크고 죄책감을 쉽게 느끼기도 한다.

임상척도
MMPI 임상척도


D척도의 점수증가는 심한 심리적 고통을 나타내거나 변화와 증상완화에 대한 소망을 반영한다.

구 분 내 용
D1-주관적 우울감(32문항) * 그렇다 : 32, 41,43, 52,67,86,104,138,142,158,159,182,189,236,259
* 아니다 : 2,8,46,57,88,107,122,131,152,160,191,207,208,242,272,285,296
* 주어진 특성들은 행위에 있어서 즐거움을 느끼지 못한다.
* 절망과 비관, 의욕저하와 더불어 자존감 저하에 대처할 에너지가 부족하다.
D2: 정신운동지체(15문항) * 그렇다 : 41,52,145,182,259
* 아니다 : 8,30,39,57,64,89,95,207,208,233
* 사회적 참여와 움직임에 대한 무관심, 무기력감, 공격성 및 분노를 부정한다.
* 사회적 활동에서 철수하는 경향이 있고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선호한다.
* 낮은 점수는 자살에 대한 충분한 에너지가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D3: 신체적 기능장애(11문항) * 그렇다 : 130,189,193,288
* 아니다 : 2,18,51,153,154,155,160
* 주어진 특성들은 신체적 기능 장애에 대한 호소와 자기 자신에 대한 집착을 나타낸다.
* 우울증의 신체적 반영인 식욕저하, 체중변화, 허약함 변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D4: 둔감성(15문항) * 그렇다 : 32,41,86,104,159,182,259,290
* 아니다 : 8,9,46,88,122,178,207
* 주어진 특성들은 반응성이 저하되고, 자신의 심리적 기능에 대한 불신을 나타낸다.
* 주의 집중력이 부족하고 판단력이 저하되며 기억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 또한 낮은 에너지 수준과 자신감, 주도성 부족 등의 우울증의 인지적 특성을 나나낸다.
D5: 깊은근심(10문항) * 그렇다 : 41,67,104,138,142,158,182,236
* 아니다 : 88,107
* 반추 및 화를 잘 내는 경향을 나타내며 불행감과 초조함이 자주 언짢음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 명백한 우울증 내용을 담고있는 특성들이며 DEP척도와 8문항이 중복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척도 3 (히스테리, Hy)

 


Hy 척도의 높은 점수는 스트레스 처리에 있어서 부정과 억압적인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의존적이고 소박하며 외향적인 특징과 감정표현이 유아적이거나 자기중심적 태도와 행동을 나타낼 수 있다. 높은 점수는 수검자가 대인관계에 취약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자신의 문제에 대한 통찰력이 부족함을 나타낸다. 심리적 과정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스트레스가 높을 때 신체증상의 반영을 나타낸다.

구분 내용
Hy1: 사회적 불안의 부인(6문항) * 그렇다 : 없음
* 아니다 : 141,172,180,201,267,292
* 외향성이 높으며 사회적 불안이나 당황스러운 상황에 대한 두려움을 부정한다.
* 연극성 성격의 사교적인 면과 사회적으로 탈억제된 측면을 강조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 이 특성들은 Pd3(반사회성)와 2/3 문항을 공유한다.
Hy2: 애정욕구(12문항) * 그렇다 : 253
* 아니다 : 26,71,89,93,109,124,136,162,234,265,289
* 타인에 대한 적대적 태도를 부정하며, 처벌적인 성향을 보이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 타인에 대한 신뢰와 지나친 낙관주의 냉소, 불신과 적개심, 반항적 태도와 같은 부정적인 특성들을 부정한다.
* 이를 통해 Hy2는 자신의 부정적 특성을, Pa3는 타인의 부정적 특성을 부정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Hy3: 권태- 무기력(15문항) * 그렇다 : 32,43,76,189,238
* 아니다 : 2,3,8,9,51,107,137,153,160,163
*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기능의 저조함을 호소한다.
* 외모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며, 관심과 확신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
* 명백한 우울감을 함축하고 있으며, 척도2와 6문항이 중복되는 것으로 나타나며(상관관계 r=.90) 모호한 신체적인 호소, 활력의 부족, 지침과 고통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불편한 상태를 시사한다.
Hy4: 신체적 증상(17문항) * 그렇다 : 10,23,44,47,114,186
* 아니다 : 7,55,103,174,175,188,190,192,230,243,274
* 주어진 특성들은 정서의 억압과 전환을 시사하는 신체적 증상들을 나타낸다.
* 이러한 문항들은 개별적이고 극적인 신체적 증상들을 언급하고 있으며, 두통, 통증, 불편감, 심혈관 문제에 중점을 두고 나타난다.
Hy5: 공격성의 억제(7문항) * 그렇다 : 없음
* 아니다 : 6, 12, 30,128,129,147,170
* 다른 사람에게 동조하고, 폭력성을 부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 범죄 뉴스나 수사 이야기, 욕설, 피를 보는 것 등에 대한 혐오감을 가지고 있다.
* 이러한 특성들은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갖고 있으며, 폭력적인 행동을 부정하는 것을 보여준다.

척도 4 (반사회성, Pd)


높은 Pd척도 점수는 규칙을 어기거나 사회적 규범을 무시하는 반항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고 가족 구성원과의 갈등이나 가족관계 분열, 순간적인 충동에 따라 행동하는 경향, 학업이나 직업문제, 범법행위와 알코올이나 약물남용 등 반사회적 행동을 나타낸다. 높은 점수의 피검자들에게 있어서 반사회적 인격장애가 흔하다. 이들은 외향적, 사교적이며 남에게 호감을 주고 남을 속이고 조정하며 쾌락에 탐닉하며 자기 과시적이며 신뢰할 수 없고 미성숙하며 적대적이다. 공격적인 행위와 판단장애를 쉽게 보인다. 높은 점수는 쉽게 변화되기 어려운 장기적인 인격장애를 나타낸다.

구분 내용
Pd1: 가정불화(9문항) * 그렇다 : 21,42,216,224,245
* 아니다 : 96,137,235,237
* 가족의 통제에 저항하려는 욕구를 나타낸다.
* 주로 원가족과의 갈등과 문제를 반영하고 잇으며, 상당히 신랄하고 분개하는 경향이 있다.
* 다른 사람을 탓하고, 통제당하거나 보살핌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과 관련이 있다.
* Pd4와 Sc1과 함께 이러한 특성들은 희생자와 가해자의 학대 경험에 가장 민감한 소척도로 나타날 수 있다.
Pd2: 권위불화(8문항) * 그렇다 : 38,118
* 아니다 : 37,82,141,173,289,294
* 주어진 특성들은 부모 및 사회의 요구와 관습, 도덕 규범에 분개함을 나타낸다.
* 주로 권위와 관습, 예절의 제약 아래에서 반항, 저항, 짜증애기 등의 주제로 권위에 반발하고 따지기를 좋아하는 성향을 포함하고 있다.
* 이러한 특성들은 통제되지 않은 행동과 저한적인 반응을 예측하게 하며, 잘못된 행동이나 규칙 위반에 대한 민감도가 높다. 특히 Ma4와 함께 상승할 경우 통제 회피, 자율성, 자기 결정 등의 문제가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Pd3: 사회적 안정성(6문항) * 그렇다 : 없음
* 아니다 : 82,141,171,180,201,267
* 주어진 특성들은 사회적 불안을 부인하고, 담담한 태도를 보이며, 의존욕구를 부인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 이들은 두려움을 모르는 대담한 사교성을(Hy1)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인 불안이 없고 확신에 차 있는 모습을 보인다.
Pd4A: 사회적 소외(13문항) * 그렇다 : 16,24,35,67,94,110,127,239,244,284
* 아니다 : 20,141,170
* 주어진 특성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의 고립감, 소속감의 결여, 사회적인 관계에서의 만족감 부족, 문제의 책임을 외부로 돌리는 경향을 나타낸다.
* 이러한 특성들은 사회적인 소외감과 타인으로부터 제대로 이해받지 못하는 느낌으로 인해 분노, 박탈감, 불쾌감을 경험할 수 있다.
* Sc1은 다른 사람과의 애착 형성을 꺼리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Pd4A는 애착을 형성하는 능력이 없지만 이에 대해 슬픔을 느끼는 것을 보여준다.
Pd4B: 내적소외(11문항) * 그렇다 : 32,33,67,84,94,102,106,127,215
* 아니다 : 8,107
* 주어진 특성들은 자기통합의 결여, 죄책감 인정, 의기소침 등을 나타낸다.
* 특히 척도 4는 우울 요소로 자기 비난과 후회를 강조하여 자책감을 나타내며, 죄책감을 가장 잘 나타내는 척도 중 하나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