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성불편증(성전환증) 진단 및 특징, 원인, 치료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성불편증(성전환증) 진단 및 특징, 원인, 치료

by &@#*$ 2023. 5. 22.

성불편증은 태어날 때 부여된 생물학적 성별과는 다른 성정체성을 가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자신의 생물학적 성별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느끼고 다른 성별로 살고자 하는 욕구와 심리적인 불편함을 경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성불편증의 진단 및 특징, 원인과 치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성불편증 진단 및 특징

① 선천적으로 주어진 생물학저 성과 성역할에 대해서 심리적 불편감을 느끼는 경우를 말한다. 성전환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② 자신에게 주어진 생물학적 성과 성역할에 대해서 불편을 느끼며, 반대의 성에 대한 강한 동일시를 나타내거나 반대의 성이 되고자 하는 강렬한 욕구를 지닌다.

강하고 지속적인 반대 성과의 성적 동일시 : 소아의 경우 다음의 사항 중 4가지 이상의 양상이 드러난다.

  • 반복적으로 반대 성이 되기를 소망한다.
  • 소년은 옷 바꿔 입기 또는 여성 복장 흉내 내기를 좋아하고, 소녀는 오로지 인습적인 남성 복장만을 고집한다.
  • 놀이에서 강력하고 지속적인 반대 성 역할에 대한 선호 또는 반대 성이라고 믿는 지속적인 환상을 지닌다.
  • 반대 성의 인습적인 놀이와 오락에 참여하기를 간절히 원한다.
  • 반대 성의 놀이친구에 대한 강한 편애를 지닌다.

④ 자신의 성에 대한 지속적인 불쾌감, 또는 자신의 성 역할에 대한 부적절한 느낌을 받는다.

  • 소아의 경우 : 소년은 자신의 음경 또는 고환을 혐오하거나 난폭하고 거친 놀이를 싫어하며, 소녀의 경우 앉은 자세에서 소변보기를 거부하고, 유방이 커지는 것과 월경을 원하지 않으며 음경이 생길 것이라고 주장하고, 여성 복장에 대한 강한 혐오를 나타낸다.
  • 청소년과 성인의 경우 : 제1차 성징과 제2차 성징을 없애려고 집착한다. 예) 반대 성을 자극할 목적으로, 신체적으로 성적 특징을 변화시키고자 호르몬, 외과적 수술, 혹은 기타의 치료법을 요구하거나 또는 잘못된 성으로 태어났다고 믿는 등의 증상이 나타남

성불편증 원인

선천적 요인

  • 선천적 요인을 원인으로 보는 이들은 유전자 이상이 성 불편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본다.
  • 태아의 유전적 결함이나 어머니의 약물복용 등으로 인해 태내기의 호르몬이 이상이 생겨 신체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에 괴리가 나타난다고 본다.

후천적 요인 : 후천적인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유발된다는 주장이 있다.

정신분석적 입장

  • 성불편증 성장 과정 중 오이디푸스 갈등이 중요시되는 남근기에 고착된 현상으로 설명한다.
  • 이성의 부모를 과도하게 동일시하게 되면 이후에 성 불편증이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 남성 성불편증 환자 : 아버지가 없거나 무기력한 반면, 어머니는 지배적이고 속박적인 경향이 있다.

* 여성 성불편증 환자 : 어머니가 우울증적 경향이 있고, 아버지는 냉담하고 무관심한 경향이 있어서 딸이 아버지를 대신해서 지지적이고 남성적인 역할을 해야 하며, 이때 남성적인 행동은 아버지에 의해 지지되고 여성성은 무시된다.

행동주의 입장

  • 반대 성의 행동이 나타나게 되는 과정을 학습원리에 의해 설명한다.
  • 성에 대해 혼란이 생기기 쉬운 경우 : 동성의 부모가 소극적이거나 존재하지 않는 반면, 반대 성의 부모가 지배적이어서 아동이 반대 성의 부모를 모델로 삼아 사회적 행동을 습득하기 때문이다.
  • 아동이 반대 성의 행동을 모방하기 시작할 때 부모가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귀여워하는 등의 보상을 주게 되면 이런 행동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성불편증 치료

① 성 정체성과 관련된 심리적인 고통과 어려움을 다루고 적절한 자기 수용과 정서적인 지지, 성전환 과정에 대한 정보와 지침을 제공받을 수 있는 상담이 필요하다.

성전환 수술 : 새로운 성으로 2년 정도 살아보고 난 후에 여전히 성전환 수술을 원하면 수술하는 경우가 많다(심리적 완화 차원)

③여자이지만 남자로 성전환을 요구하는 경우 더 복잡한 시술이 요구되고 여러 번의 수술이 필요하다.

④ 가족이나 친구, 직장, 학교 등에서의 대화, 이해, 사회적 지원과 성전환을 지원하는 단체나 그룹에 참여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