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환자를 평가하기 위해 면담할 때 유의해서 보아야 하는 사항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환자를 평가하기 위해 면담할 때 유의해서 보아야 하는 사항

by &@#*$ 2023. 5. 29.

심리적 정신적 평가를 위해 병원의 정신과나 정신보건센터에서 환자를 평가합니다. 이때 환자를 평가하기 위해 면담을 하게 되는데 면담할 때 유의해서 보아야 하는 사항에 대해 살펴보도록 합시다.

심리평가의 사유

① 평가면담을 통해 내담자의 부적응 문제 및 의뢰된 사유, 내담자의 문제와 관련된 환경 및 생활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② 내담자에 대한 평가면담을 시작하면서 우선적으로 확인해야 할 내용은 심리평가를 받게 된 직접적인 이유 즉 '주 문제' 혹은 '증상'이다.

평가면담
평가면담


③ 임상가는 내담자에게서 나타난 주 문제의 구체적인 특징, 발생 경과, 그 문제가 생활에 미친 영향, 대처 노력, 이전 치료경험 등의 측면을 함께 알아보아야 한다.
④ 내담자의 주 문제 생활에 미친 영향, 대처 노력 등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가 수집되면 내담자의 문제 및 상태에 대한 잠정적인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설에는 최근에 발생한 문제, 신체 상태, 사회적 환경, 촉발적 스트레스, 습관적 대응기제, 현재 갈등에 대한 생활사적 선행요인, 중요한 성격적 특질, 자기 개념 및 전체감, 자아장도, 자기 결정 능력, 대인관계 능력 등이 포함된다.

발달사적 정보

① 평가면담을 통해 개인의 사회적, 가족적 및 발달사적 정보 등을 수집해야 한다.
② 내담자의 주 문제와 함께 그 문제의 경과 및 생활에 미친 영향 등에 관한 정보가 수집된 후에는 내담자의 발달사, 내담자가 속한 사회적 환경의 초기 상태와 변천사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다. 이와 같은 발달사적 정보에는 개인의 발달력, 가족력, 사회력, 학업 및 직업력, 의학력 등이 포함된다.
③ 내담자가 경험하고 있는 문제를 보다 근원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내담자의 현재 문제와 적응, 주변 환경은 물론 과거부터 현재까지 개인의 변화 역사, 사회적 조건과 경험 등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④ 발달사적 정보는 심리검사나 행동관찰 등으로는 구하기 어려우며, 대개는 면담 시 직접적인 질문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정신상태 평가

① 면담이 진행되는 도중에 드러나는 내담자의 말, 표정, 자세, 동작, 태도 등을 토대로 그리고 필요한 경우 별도의 추가적인 질문을 통해 정신상태 평가가 이루어진다.
② 정신상태 평가는 내담자 혹은 환자를 관찰하고 자기 진술을 이끌어 내며, 질문을 통해 내담자의 심리적 및 행동적 기능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③ 정신상태 평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된다.

● 현재 정신병리적 문제의 평가(잠정적 진단과 예후, 손상 정도, 가장 적합한 치료방법 등)

● 성격구조의 파악 및 이를 통한 정신병리적 문제의 역사적 발달적 선행요인의 확인

● 치료에 필요한 능력 및 치료 참여의 의지에 대한 평가

④ 현재 정신병리적 문제의 평가에 초점을 둔 정신상태 평가에서는 용모 및 외모, 면담 태도, 정신운동 활동, 정서적 반응, 언어와 사고, 감각과 지능, 기억력과 지남력 등이 포괄적으로 검토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