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by &@#*$ 2022. 11. 9.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 형성은 자극에 의해 유발된 반응보다는 유기체 스스로가 방출한 반응에 관심을 두며 반응이 보상 앞에 위치합니다. 스키너는 알려져 있는 자극에 의하여 인출되는 대응적 행동과 단순히 유기체에 의하여 방사되는 즉, 원인이 되는 자극을 잘 모르거나 또는 알 필요가 없는 행동의 조작적 행동을 구분하였습니다.

조작적 조건화와 유관 학습

조건화의 핵심

  • 파블로프는 고전적 조건 형성을 통해 조건 자극과 무조건 자극의 시간적 근접성을 조건화의 핵심으로 주장한다
  • 먹이와 조건화된 종소리 간의 시간적 간격이 짧을수록 조건 형성이 잘 이루어지는 반면, 그 간격이 길수록 조건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

자극 간의 유관 인지

  • 개에게 무조건 자극으로서 먹이를 줄 때 종소리 이외에 다양한 자극들이 결합 가능(예 - 실험자의 발소리, 문 여는 소리 등
  • 상기와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조건 형성이 종소리와 먹이 사이에만 이루어진 것은 개가 두 자극 사이에서만 유관을 인지하였기 때문이다.

유관 강화 : 유관은 보상과 반응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유관 강화에 해당한다.

조작적 조건 형성의 주요 측면

1) 조형 : 쥐의 지렛대 누름 반응과 같이 점차 새로운 반응을 습득시켜 가는 과정을 말한다.

①  차별 강화 : 어떤 반응은 강화를 받고 다른 어떤 반응은 강화를  받지 않는 것

계속적 접근 : 실험자가 원하는 것에 점차적으로 비슷해지는 반응만 강화를 받는 것

2) 강화 : 특정 행동에 즉각적으로 뒤따라 나오는 반응 결과의 변화에 의해 이후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게 되는 과정이다.

정적 강화 

  • 어떤 특정한 행동이 나오고 이 행동 뒤에 즉각적으로 어떤 것이 주어졌을 때 행동의 빈도가 증가되는 과정
  • 강화인 : 여기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 자극

부적 강화 

  • 부적 강화는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킨다는 측면에서 정적 강화와 동일 
  • 정적 강화는 행동의 결과로써 어떤 것이 주어짐으로써 이후 행동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게 되는 반면에, 부적 강화는 행동의 결과로써 어떤 것이 없어짐으로써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게 되는 과정이라는 점이 다름

③ 처벌

  •  유기체에게서 정적으로 강화적인 것을 빼앗아 가거나 부적 강화인을 제시, 적용하는 것
  •  부적 처벌 : 어떤 사람에게 그가 원하는 어떤 것을 빼앗아 가는 것
  •  정적 처벌 : 어떤 사람에게 그가 원하지 않는 어떤 것을 주는 것
  •  벌에 대한 효과성은 별반 효과가 없다는 것이 심리학자들의 대체적인 견해임
  • 벌은 그것이 적용되고 있는 한 반응을 억압시키지만 그 행동 습관을 약화시키지는 않음

3) 강화 계획 또는 강화 스케줄의 유형

계속적 강화 계획

  • 반응의 횟수나 시간에 상관없이 기대하는 반응이 나타날 때마다 강화를 부여
  • 학습 초기단계에는 효과적이지만, 일단 강화가 중지되는 경우 행동이 소거될 가능성도 있음
  • 강화요인의 연속적 적용으로 인해 강화요인의 유인 가치가 감소하는 포만 효과의 부작용 발생
  • 일상생활에서보다는 실험실에서 적용 가능한 방법

간헐적 강화 계획

  • 반응의 횟수나 시간을 고려해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강화를 부여
  • 계속적 강화 계획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습된 행동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
  • 시간의 간격을 기준으로 고정 간격 계획, 가변 간격 계획, 고정비율 계획, 가변 비율 계획 등으로 구분
  • 반응률이 높은 강화 계획 순서는 가변 비율 계획(VR) 》 고정비율 계획(FR) 》 가변 간격 계획(VI) 》 고정 간격 계획(FI) 순 
  • 강화 계획 중 가장 높은 반응률을 보이면서 습득된 행동이 높은 비율로 오래 유지되는 것은 가변(변화, 변동) 비율 계획
고정간격계획 요구되는 행동의 발생빈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시간간격에 따라 강화를 부여한다.
가변간격계획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지 않은 채 평균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간 간격이 지난 후에 강화를 부여한다.
고정비율계획 행동중심적 강화방법으로 일정한 횟수의 바람직한 반응이 나타난 다음에 강화를 부여한다.
변비율계획 반응행동에 변동적인 비율을 적용해 불규칙한 횟수의 바람직한 행동이 나타난 후 강화를 부여한다.

③ 미신적 행동

  • 조작적 조건 형성과 관련된 것으로 우연히 특정 행동과 그 결과가 조건화되는 것 
  • 보상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어떤 행동이 우연히 그 보상에 선행한 경우, 그 행동은 고정적으로 계속해서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미신적 행동의 사례

스키너는 먹이통 장치가 되어 있는 상자 안에 비둘기를 가둔 채 먹이통 장치를 일정한 시간에 자동적으로 작동하도록 하였다. 그러자 이후 비둘기는 능동적이고 규칙적인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다. 즉, 비둘기는 먹이가 제공되기 직전에 자기 나름대로 바닥을 긁거나 제자리를 빙빙 돌거나 부리로 상자 내부를 쪼는 행동을 하였는데 그 우연한 일로 인해 반응과 보상 사이에 아무런 인과관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보상을 얻기 위해 그와 같은 행동을 반복한 것이다.

 

조건 형성 및 인지학습의 실험 - 손다이크(Thorndike)의 고양이 실험

① 손다이크는 학습이 추상적 지적 활동에 의해 이루어지기보다 시행착오의 과정과 결과에 의해 나타난다는 시행착오설을 제시했다.

② 학습은 추상적 지적 활동에 의해 이루어지기보다 시행착오의 과정과 결과에 의해 나타난다.

③ 손다이크는 내부에서 페달을 누를 경우 문이 열리도록 고안된 문제 상자를 통해 고양이 실험을 하였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에서 학업 지연행동 극복전략  (0) 2022.11.16
학습의 인지전략  (0) 2022.11.14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0) 2022.11.02
자아인지의 발달  (0) 2022.10.31
사회학습이론(크럼볼츠)  (0) 2022.10.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