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자아인지의 발달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자아인지의 발달

by &@#*$ 2022. 10. 31.

심리 발달적 부분에서 자아인지 개념과 형성과정을 알아보고 자아 인지발달을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의 발달단계를 바탕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아인지의 개념과 형성과정

① 자아인지는 자신의 내재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의미하며, 타인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타인이 나를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느냐에 따라 형성된다(거울상 자아)는 입장과 자아와 환경 간의 상호활동에 대한 지각으로부터 직접 형성된다는 입장이다.

범주적 자아 : 사람과 사람 간의 차이를 구분하고 유목화하여 자아를 지각하는 개념적 틀을 뜻한다. 연령, 성, 신분 등은 대표적인 범주적 자아의 틀이다. '나는 남자예요'라고 자기 진술을 하는 아동은 성에 따른 범주적 자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개인 내적 자아 : 다른 사람은 볼 수 없는 자신만이 알고 있는 자아이다. 아동이 자신의 머릿속에 생각이 흘러가고 있으며, 다른 사람은 그 생각을 모른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되면 개인 내적 자아가 형성되기 시작한다. 자신의 잘못을 감추기 위해 거짓말을 하거나 정서를 위장하는 것은 개인 내적 자아의 표출 양상이다. 

 

영아기 및 유아기 자아인지 발달

1) 영아기 자아인지 발달

① 생후 4개월 경 공간 내 대상의 존재를 탐색하면서 자신이 대상과 분리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② 생후 6개월 경에는 초보적인 신체적 자아인지를 형성하게 된다.

③ 15~24개월 정도가 되면 눈으로 자기를 보고 자신을 인지하게 된다.

④18개월 경이면 자신의 사진을 알아보는 등 자기 표상을 인지할 수 있다.

 

2) 유아기 자아인지 발달

① 2세 경부터 자신이 남자인지 여자인지, 또는 아이인지 어른인지에 관한 기본적인 범주적 자아인지를 보인다.

② 3세부터 언어능력이 급격히 발달함에 따라 자신의 여러 특성에 관해서 언어적으로 표현하게 된다(예 - '나는 얼굴이 예뻐요', '나는 동생과 싸워요', '나는 세발자전거가 있어요' 등)

③ 4세 아동의 자아인지는 '나는 사람을 좋아해', '나는 행복해' 등과 같이 자신의 내재적 특징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아동기 자아인지 발달

① 초등시기에는 점차 외적 특성들을 나열하는 데에서 벗어나 자신의 성격, 가치, 생각, 신념 등 심리적 특성들을 묘사하게 된다.

② 아동기 구체적 조작 사고의 발달과 함께 범주적 자아는 더욱 세분화되고, 구체화된다(예 -'나는 대한민국 사람이에요', '우리는 아이들이에요' 등)

③ 연령이 증가할수록 또래집단과의 관계에 관한 사회적 자아와 생각, 신념 등 추상적이며 내재적인 실재적 자아인지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0) 2022.11.09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0) 2022.11.02
사회학습이론(크럼볼츠)  (0) 2022.10.27
TAT(주제통각검사)해석방법  (0) 2022.10.24
문장완성검사(SCT)  (0) 2022.10.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