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PAI 검사(성격평가질문지)의 특징과 구성척도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PAI 검사(성격평가질문지)의 특징과 구성척도

by &@#*$ 2023. 5. 17.

PAI(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검사는 성격 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심리검사 중 하나로 개인의 성격 특징과 심리적 상태 등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344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격특징을 비롯해 정서적 상태, 대처 방식, 정신건강 상태 등을 평가하는 PAI 검사의 특징과 구성척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PAI 검사의 특징

①환자집단의 성격 및 정신병리학적 특징은 물론 정상인의 성격평가에 매우 유용하다.
② 조현병, 기분장애, 불안장애 등 축 1의 장애는 물론 편집성 성격장애, 분열성성격장애, 등 축 2의 장애를 포함하므로 DSM - 4의 진단분류에 가장 가까운 정보를 제공한다.
③4점 평정척도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기능의 손상 정도 혹은 주관적 불편감 수준을 보다 정확히 측정 및 평가가 가능하다.
④ 분할점수(Cut-Off Score)를 사용하는 각종 장애의 진단과 함께 꾀병이나 과장, 문제에 대한 부인 등 반응왜곡을 탐지하는 데 유용하다.
⑤총 344문항으로 구성되며, 4가지 타당도척도, 11가지 임상척도, 5가지 치료척도, 2가지 대인관계 척도를 포함한다.
⑥문항이 중복되어 있지 않으므로 변별타당도가 높으며, 위기문항을 통해 임상척도의 의미를 보다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

타당도 척도(Validity Scales)

비일관성 : 내용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10개의 문항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에 대한 수검자의 일관성 있는 반응태도를 평가함
저 빈도 : 수검자의 부주의하거나 무선적인 반응태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8개의 문항 중 4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다른 4문항은 매우 그렇다고 반응할 것으로 기대하는 문항
부정적 인상 : 지나치게 나쁜 인상을 주거나 꾀병을 부리는 등 왜곡된 반응과 관련된 9개의 문항
긍정적 인상 : 지나치게 좋은 인상을 주거나 자신의 결점을 부인하는 등 왜곡된 반응과 관련된 9개의 문항

임상척도(Clinical Scales)

신체적 호소 : 신체적 기능 및 건강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관심도를 반영하는 2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환, 신체화, 건강염려 등 3개의 하위척도를 포함함
불안 : 불안을 경험할 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임상적 특징을 반영하는 2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지적, 정서적, 생리적, 불안 등 3개의 하위척도를 포함함
불안 관련장애 : 불안장애와 관련된 증상과 행동에 초점을 둔 2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강박장애, 공포증, 외상적 스트레스장애 등 3개의 하위척도를 포함함


우울 : 우울증후군의 공통적 임상적 특징을 반영하는 2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지적, 정서적, 생리적 우울 등 3개의 하위척도를 포함함
조증 : 조증 및 경조증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특징을 반영하는 2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활동 수준, 자기 확대, 초조감등 3개의 하위척도를 포함함
편집증 : 편집증의 공통적인 임상적 특징을 반영하는 2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과한 경계, 피해의식 등 3개의 하위척도를 포함함
조현병(정신분열증) : 조현병의 다양한 특징적 증상에 초점을 둔 2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신병적 경험, 사고장애 등 3개의 하위척도를 포함함
경계선적 특징 : 대인관계 및 정서의 불안정성을 반영하는 경계선증후군의 특징적 증상에 초점을 둔 2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서적 불안정, 정체감문제, 자기 손상 등 4개의 하위척도를 포함함
반사회적 특징 : 범죄행위, 권위적 인물과의 갈등, 자기 중심성 등 반사회적 성격을 반영하는 2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반사회적 행동, 자기 중심성, 자극추구 등 3개의 하위척도를 포함함
알코올 문제 : 알코올남용, 의존, 중독 등 문제적 음주행동에 초점을 둔 12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짐
약물문제 : 약물남용, 의존, 중독 등 문제적 약물사용 행동에 초점을 둔 12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짐


치료척도
공격성 : 공격성, 적대감, 분노심 등의 태도 및 행동을 반영하는 18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격적 태도, 언어적 공격, 신체적 공격 등 3개의 하위척도를 포함함
자살관념 : 죽음이나 자살과 관련된 사고를 반영하는 12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짐
스트레스 : 개인이 현재 경험하고 있거나 최근 경험한 바 있는 스트레스와 관련된 8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짐
비지지 : 접근이 가능한 사회적 지지의 수준 및 질을 고려하여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부족과 관련된 8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짐
치료 거부 : 개인의 심리적 정서적 변화, 치료에의 참여의지,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등을 반영하는 8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짐

대인관계 척도
지배성 : 대인관계에서의 통제성 및 독립성을 유지하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12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짐
온정성 : 대인관계에서의 지지 및 공가므이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12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