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의 성격 특성과 정신 건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사용되는 심리검사의 일환인 MMPI는 심리학적 평가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검사 태도를 측정하는 타당도척도와 비정상적 행동의 종류를 측정하는 10가지 임상척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는 MMPI의 임상척도 중 척도 1, 척도 2, 척도 3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상척도 1 Hs(Hypochondriasis, 건강염려증) -33문항
① 심기증 척도로서 수검자의 신체적 기능 및 건강에 대한 과도하고 병적인 관심을 반영한다.
② 수검자가 호소하는 신체 증상으로 다른 사람을 조종하지 않는가 여부를 묻는다. 신체기능에 대한 과도한 불안이나 집착 같은 신경증적인 불안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③ 냉소적, 요구적, 비관적 부정적 성격 특징을 보인다.
④ 대부분의 문항들이 다른 임상척도에서도 채점되며, 특히 척도 3 Hy(히스테리)와 중복되어 같은 방향으로 채점이 이루어진다.
⑤ 측정 결과가 65T 이상인 경우 만성적인 경향이 있는 모호한 여러 신체증상들을 호소한다. 일반적으로 불행감을 느끼고 자기중심적이며, 애처롭게 호소하는 동시에 적대적이고 타인의 주의집중을 바란다. 또한 자신의 병을 구실로 다른 사람을 조종하며 지배하려고 한다.
⑥ 측정 결과가 44T 이하인 경우 낙천적이고 통찰력이 있으며, 건강에 대한 염려가 없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 오히려 자신의 건강에 대한 걱정 및 신체적 결함에 대한 강한 부정을 의미하기도 한다.
⑦ 문항 예 : '항상 기운이 없고 몸이 나른하다.
T점수 | 해석 |
44 이하 | * 모호한 신체적 증상이나 건강에 대한 걱정을 부인하는 사람 * 보건직에 종사하는 사람이나 건강염려증 환자의 가족이나 병을 나약함과 동일시하여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 * 기민하고 낙천적이며, 통찰력 있고 효율적임 |
45 ~ 55 | 보통 범위에 속하는 신체적 증상을 호소함 |
56 ~ 65 | * 실제로 신체적 질환이나 장애가 있는 사람, 미성숙하고 고집 세고 의욕이 약함 * 자신 및 타인의 신체적 건강에 대하여 건설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상인 * 조심성 있고 사려 깊고 진실하며 양심적임 |
66 이상 | * 자신에게 어떤 신체적 병이 있다고 생각하거나, 같은 병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을 조종하고 지배하려 함 * 모호한 신체적 증상에 과도하게 집착하고 불평이 많고 냉소적이며 요구사항이 많고 부정적 비판적임 * 심리적 및 신체적 치료에 대한 예후가 불량함 * 여하한 해결책에 대해서도 거부적임 |
임상척도 2 D(Depression, 우울증) - 60문항
① 검사 수행 당시 수검자의 우울한 기분, 즉 상대적인 기분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척도이다.
② 우울증상은 사기 저하, 자신에 대한 과소평가, 열등감, 미래에 대한 희망 상실, 현재 자신의 생활환경에 대한 일반적인 불만 등으로 나타난다.
③ 문항은 선과 악 또는 옳은 것과 그른 것을 가려내는 특성과 연관된다.
④ 주로 내인성 우울증보다는 외인성 우울증을 측정하므로, 척도 점수는 수검자의 현재 기분 상태에 의해 변할 수 있다.
⑤ 척도 2는 수검자의 자기 자신 및 생활환경에서의 안정감 또는 만족감을 파악하는 지표로도 활용된다.
⑥ 측정 결과가 70T 이상인 경우 우울하고 비관적이며, 근심이 많고 무기력하다. 또한 지나치게 억제적이며 쉽게 죄의식을 느낀다. 특히 점수 증가는 심한 심리적 고통, 변화나 증상완화에 대한 소망을 반영하기도 한다.
⑦ 측정 결과가 40T 이하인 경우 우울이나 비관적 성향이 없이 사교적이고 낙천적이며, 사고나 행동에서 자유로움을 의미한다. 반면, 오히려 주의력 부족 또는 자기 과시적 성향을 시사하기도 한다.
T점수 | 해석 |
40 이하 | * 사교적이고낙관적이며 기민한 사람, 사고나 행동이 자유로움 * 이 같은 행동들이 그 사람의 환경과 상황에 적절할 것(특히 근래에 사고가 있었을 때) |
41 ~ 59 | 경력과 열의가 균형을 이룬 생활 태도나 행동 |
60 ~ 69 | * 자신이나 어떤 일에 대하여 불만이 있으나 이 같은 상태를 우울한 것이라고 느끼지는 않으며, 오히려 상황에 적절할 수도 있음 *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에 적절한 걱정을 나타내지 않거나 만성적인 우울한 생활에 적응된 상태 * 정상인일 경우, 현실적 객관적이며 사려 깊고 생각을 좋아함 * 스트레스하에서는 자신의 행동에 과도하게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고, 죄책감에 잘 빠지며, 걱정과 불안을 나타냄 * 옳고 그른 것, 선과 악을 잘 따지고, 인성이나 그 의미에 대한 실존적 의문을 가짐 * 대학 상담 의뢰자에서 가장 흔하며, 만성적 우울증이라기보다는 현실적으로 압박을 가하는 문제에 대한 반응을 나타냄 * 소척도 분석을 통하여 정확한 해석을 시도할 것 |
70 이상 | * 인생이나 자신에 관하여비관과 우울한 기분을 보이는 환자 * 자기 비하적, 현실 회피적, 죄의식, 우유부단, 걱정이 많음 * 점수가 높아질수록 운동지체, 극단적 무망감, 자기비하 등이 확산되고 망상적이 됨 * 다른 임상 척도를 검토하거나 환자 면담을 통하여 우울감의 원인을 파악해야 함 |
임상척도 3 Hy(Hysteria, 히스테리) - 60문항
① 현실적 어려움이나 갈등을 회피하는 방법으로 부인기제를 사용하는 성향 및 정도를 반영한다.
② 전환성 히스테리 경향의 지표로서, 스트레스로 인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신체마비, 소화불량, 심장 이상 등의 신체적 기능장애나, 신경쇠약, 의식상실, 발작 등의 심리적 기능장애와 연관된다.
③ 히스테리 증상을 가지고 있는 환자가 과도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심리적 갈등에서 도피하고자 하며, 자신의 욕구를 무의식적으로 신체적 증상으로 전환시켜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척도 3에 속하는 문항들은 척도 1 Hs(건강염려증)과 중복되어 같은 방향으로 채점이 이루어진다.
④ 척도 3의 점수는 수검자의 지능, 교육 수준, 사회경제적 위치 등과 연관이 있으며, 특히 지능 및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척도 3의 점수 또한 높게 나온다. 또한 성별에서도 차이가 나타나 보통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경향이 있다.
⑤ 정상적인 사람으로서 척도 3의 점수가 약간 높은 경우 감정이 풍부하고 예민하며, 정이 많고 우호적이다. 그러나 실망스러운 상황이나 스트레스에 처하게 되면 심신장애나 부인방어를 보인다.
⑥ 측정 결과가 70T 이상인 경우 유아적이고 의존적이며, 자기도취적이고 요구가 많다. 또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특수한 신체적 장애를 나타내 보이며, 스트레스 처리에 있어서 부인이나 억압의 신경증적 방어기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⑦ 측정 결과가 40T 이하인 경우 논리적이고 냉소적이며, 정서적으로 둔감하고 흥미 범위가 좁다. 특히 이와 같은 낮은 점수는 타인에 대한 비우호적인 성향과 사회적인 고립상태를 반영하기도 한다.
⑧ 문항 예 : '무슨 일을 하려고 하면 손이 떨릴 때가 많다'.
T점수 | 해석 |
40 이하 | * 냉소적이고 불신하며,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환자 * 세상에 냉혹하게 대처하며, 흥미 범위가 좁고 방어기제가 약함 |
41 ~ 59 | * 히스테리 역동의 태도나 행동을 전형적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 대부분의 정상인 해석 불요 |
60 ~ 69 | * 과다노출적, 외향적, 피상적인 환자, 순박하고 자기중심적이며 여하한 문제도 부인함 * 인생의 긍정적인(낙관적인)측면만 보려 하고 불유쾌한 일들을 외면하려 함 * 대인관계에 대한 통찰력이 부족함 * 정서적이고 긍정적인 강점을 잘 나타냄 |
70 이상 | * (60~69)의 첫 번째 항목이 더욱 상향, 피암시적임 * 스트레스하에서는 특수한 신체적 장애가 나타남 * 미성숙하고 요구가 많고 억압이 강함 * 단순하고 구체적인 문제 해결책을 요구하고 자기검토를 불원함 * 첫인상은 좋으나 심리적 치료는 어려움 |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I 검사(성격평가질문지)의 특징과 구성척도 (0) | 2023.05.17 |
---|---|
MMPI 임상척도 (척도 4, 척도 5, 척도 6) (0) | 2023.05.16 |
간헐성 폭발장애의 증상및 특징, 원인, 치료 (0) | 2023.05.11 |
머리카락을 지속적으로 뽑게되는 발모광 진단기준, 원인, 치료 (0) | 2023.05.08 |
저장 장애의 증상 및 특징, 진단 기준, 원인과 치료 (1) | 2023.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