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MMPI 임상척도 (척도 4, 척도 5, 척도 6)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MMPI 임상척도 (척도 4, 척도 5, 척도 6)

by &@#*$ 2023. 5. 16.

수검자의 비정상 행동의 종류를 측정하는 MMPI의 10가지 임상척도 중 척도 4(반사회성), 척도 5(남성성-여성성), 척도 6(편집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임상척도 4 Pd(Psychopathic Deviate, 반사회성) - 50문항

① 갈등의 정도에 대한 지표로서, 특히 가정이나 권위적 대상 일반에 대한 불만, 자신 및 사회와의 괴리, 권태 등을 반영한다. 또한 반사회적 일탈행동에 대한 지표로 반항, 충동성, 학업이나 진로문제, 범법행위, 알코올이나 약물남용 등을 반영한다.
② 반항, 충동성 등 일탈행동의 경향은 항상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출현 시기 사이에 상당한 간격이 있는 경우가 많다.
③ 일탈행동이 나타나기 이전 잠재시기에는 오히려 다른 사람의 호감을 사고 지적인 사고와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④ 정상적인 사람으로서 척도 4의 점수가 약간 높은 경우, 자기주장적이고 솔직하며 진취적이고 정력적이다. 그러나 실망스러운 상황이나 좌절에 처하게 되면 공격적이고 부적응적인 모습으로 변하게 된다.
⑤ 비행청소년의 경우 척도 4가 단독으로 상승할 수도 있으나 척도 6 Pa(편집증), 척도 8 Sc(정신분열증) 또는 척도 9 Ma(경조증)와 쌍을 이루는 경우도 많다.


⑥ 측정 결과가 65T 이상인 경우 외향적 사교적이면서도 신뢰할 수 없고 자기중심적이며, 무책임하다. 스트레스를 경험하면 반사회적인 특성이 드러나며, 적대감이나 반항심을 표출한다.
⑦ 측정 결과가 40T 이하인 경우 도덕적 관습적이며, 권태로운 생활에도 잘 견뎌낼 수 있다. 반면, 자신의 경쟁적 공격적 자기주장적인 성향에 대한 강한 억제를 반영하기도 한다.

⑧ 문항 예 : 때때로 집을 떠나고 싶다.

T점수 해석
40 이하 * 경직되고 통속적인 환자, 매우 지루하고 권태로운 생활도 잘 견딜 수 있음
* 남자들은 성에 대한 흥미가 적다. 특히 이 척도가 가장 낮을 때 그러함
41 ~ 55 * 권위, 소외감 및 권태에 대하여 정상 범위에 속하는 불평을 하는 환자
* 권위적 대상에 대한 불안을 잘 나타내지 않고 사회현실을 그런대로 받아들임
56 ~64 * 사회적 문제나 현안에 대하여 진지하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환자
* 환경적 갈등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고 있거나 혹은 습관적인 대인관계 및 사회적 갈등에 적응되어 있는 상태
* 갈등의 원인이 환경적인 것이라면 갈등이 해소된 후에는 점수가 정상 범위로 돌아와야 함
* 자기 주장을 잘하고 신체적 원기와 욕구를 잘 표현하는 정상인
* 새로운 상황에 쉽게 적응하고 선도적이며, 정력적 활동적임
* 모험적이고 솔직하며 진취적이나, 욕구가 좌절되면 공격적이고 사회적 부적응 행동을 보일 수 있음
65 이상 * 화가 나 있고 싸우고 있는 사람. 주로 권위적 대상과 갈등을 겪고 있는 환자이며, 이 갈등은 행동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적대감이나 반항심으로 나타나고 있음
* 신뢰성이 결여되어 있고 자기중심적이며, 무책임함. 경험에서 배울 줄 모르며 계획성이 없고 충동적임. 좌절하고 인내심이 낮음.
* 사회적으로 호감을 주고 첫인상이 좋으나, 오래 사귀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반사회적 특성이 나타남.

 

임상척도 5 Mf(Masculinity -Femininity, 남성성 - 여성성) - 60문항

① 본래 동성애 경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남성성-영성성의 측정 척도로 개정되었다.
② 흥미 양상이 남성적 성향에 가까운지 여성적 성향에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남성용과 여성용 두 개의 척도가 있으며, 그 해석은 별개이다.
③ 최근 남성과 여성 간의 구별이 예전에 비해 모호해진 상황에서 남성성과 여성성의 정의적 구분이 척도의 제작 당시와 많이 다를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척도 5를 통해 남성 동성애자를 색출할 수 있다는 논리도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④ 측정 결과가 70T 이상인 남성인 경우 예민하고 탐미적이며, 여성적이거나 수동적인 성향이 있다. 이들은 성적 정체감에 대한 갈등, 이성애적 욕구의 저하를 나타낸다.
⑤ 측정 결과가 40T 이하인 남성인 경우 능동적이고 공격적이며, 거칠고 모험을 즐긴다. 또한 무모하고 실질적이며 관심이 좁다. 반면, 남성성에 대한 강박적 성향이 있거나 공격적 충동을 해소하는 데 어려움을 나타내기도 한다.
⑥ 측정 결과가 60T 이상인 여성의 경우 남성적이고 거칠며, 공격적이고 자신감이 있다. 이들은 감정적이지 않으며 무딘 경향이 있다. 다만, 이 범위에 해당하는 여성은 많지 않으므로 채점 및 환산 과정에서의 오류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⑦ 측정 결과가 34T 이하인 여성의 경우 수동적이고 복종적이며, 스스로 무력하다고 생각한다. 반면, 여성성에 집착하여 자신을 정형적인 여성의 역할에 동일시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여성의 점수별 해석>

T점수 해석
34 이하 * 전통적인 여성 역할에 과도하게 동일시하며, 허상에 가까운 여자일 가능성이 높음
* 수동적이고 수줍어하며 양보심이 많고 스스로 무력하다고 생각함
* 관계를 너무 염려한 나머지 대인관계에서 자기주장적 자기연민적이고 불만이 많으며 잔소리가 심함
35 ~ 44 * 전통적인 여성적 취미나 활동에 관심이 많은 전형적인 여자
* 가정 밖에서의 활동에도 흥미가 많으나, 다소 수동적임
45 ~ 59 * 운동 및 기타 옥외활동을 좋아함
* 남성적인 취미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나 여성적으로 보이는 것에는크게 흥미가 없음
60 이상 * 이 범위에 속하는 여자는 흔치 않으므로 채점이나 환산과정에서의 오류를 확인할 것
* 전통적인 여성 역할에 합당한 행동이나 외모에는 분명히 흥미가 없음. 그것을 강요하면 불안해지거나 공격적이 됨
* 동성애적 행동은 나타나지 않음
* 공격적인 충동을 적절히 해소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임상척도 6 Pa(Paranoia, 편집증) - 40문항 

① 대인관계에서의 민감성, 의심증, 집착증, 피해의식, 자기 정당성 등을 반영한다.
② 보통 이와 같은 심리적 성향은 말로 표현되기보다는 묵시적 암시적으로 표출되는 경향이 있다.
③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에서는 박해, 망상, 희망상실, 죄책감 등의 편집증적 요인과 함께 냉소적 태도, 히스테리, 경직성 등의 신경증적 요인이 나타나고 있다.
④ 정상적인 사람으로서 척도 6의 점수가 약간 높은 경우 호기심과 탐구심이 많으며, 진취적이고 흥미범위도 넓다. 다만, 과도한 스트레스 상황에 처하는 경우 민감성과 의심증을 드러내며, 왜곡된 지각을 나타내 보이기도 한다.
⑤ 측정 결과가 70T 이상인 경우, 수검자는 편집증적 정신병의 가능성이 있다. 이들은  투사하고 남을 비난하며 원망한다. 또한 적대적이거나 따지기를 좋아한다. 경우에 따라 피해망상이나 과대망상을 보이며, 정신분열증 또는 편집형 장애로 진단되기도 한다.

 


⑥ 정상인으로서 측정 결과가 44T 이하인 경우, 사회적인 흥미 를 가지고 생활상의 문제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양상을 보이나, 정신병적 소견이 있는 환자의 경우 자기중심적인 성향으로 문제해결에 있어서 경직적이며 경계심이 많은 양상을 보인다. 반면, 반동형성을 통해 대인관계에서의 민감성을 의도적으로 부인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T점수 해석
44 이하 * 흥미 범위가 좁고 고집이 세고 회피적이며 경계심이 많고 불만이 많음
* 문제 해결 방식이 경직되어 있고 의심이 많으며 망상을 갖고 있을 수 있음
* T점수가 낮을수록 편집증적 증상이나 진단을 보임
45 ~ 59 * 과민하고 의심성이 많으나, 명백 문항을 피할 줄 아는 환자
* 정신증적 증상을 보이지는 않으나 편집형적 양상을 가지고 있으며, 타인의 생각에 예민하고 동기를 의식하며 분노가 많음
60 ~ 69 * 대인 관계에 민감하며, 타인의 의견에 과도하게 반응하며 경계심과 의심이 많고 잘못된 일은 타인의 탓으로 돌림
* 비판에 과도하게 민감하고 타인의 행동을 자신과 연관시킴
* 여성들은 슬프고 불안하며 현실도피적인 경향이 있고 감정 변화가 많음
70 이상 * 의심 많고 적대적이며 과도하게 민감한 환자. 점수가 높을수록 그것을 말로 표현하고 논쟁을 벌임
* 사고장애가 있을 수 있고, 피해망상이나 과대망상을 보이며 정신분열증이나 편집형 장애로 진단될 수 있음
* 투사와 외현화를 주된 방어기제로 사용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