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 및 인지행동 치료는 정신 건강 문제 및 행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각각의 치료 방법은 개인마다의 문제와 증상, 요구와 상황에 따라 선택됩니다. 행동 및 인지행동 치료의 기법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체계적 둔감법
- 구체적으로 문제가 되는 불안이나 공포와 양립할 수 없는 반응(근육이완 등)을 문제가 되는 자극과 역조건 형성시키는 절차를 따르게 되는데 , 흔히 불안이나 공포를 일으키는 자극을 심상으로 유발해 역조건형성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특정 자극에 대해 나타내던 비정상적인 불안이나 공포반응을 완전히 제거하는 치료이다.
- 적절한 대처 능력이 있으나 특정 상황에 심각한 불안을 보이는 환자에게 적합하다.
노출치료
- 홍수법이라고 불렀던 절차를 가다듬은 행동치료 기술이다.
- 공포를 일으켰던, 혹은 회피를 유발했던 자극이나 상황에 환자 자신을 노출시킨다.
- 강박증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노출과 반응방지' 방법은 노출을 기초로 한 경험 근거 치료의 예이다.
행동시연
- 환자에게 치료실 내에서 어떤 역할을 시험적으로 해보도록 함으로써 인간관계의 형성과 유지에 필요한 태도나 행동 특징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수정 기법이다.
- 사이코드라마, 자기주장훈련 등이 있다.
혐오치료
- 역조건형성의 일종으로 부적절한 반응을 유발하는 조건자극을 혐오적 반응을 일으키는 무조건자극과 짝지어 부적절한 반응을 감소시키는 치료법이다.
- 치료법 중 가장 논쟁이 되는 치료 중 하나이다. 처벌과도 같은 혐오자극을 이용하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에 크게 위배된다는 비판이 있다.
▶행동치료 종류 : 체계적 둔감법, 노출치료, 행동시연, 혐오치료
▶ 인지행동 치료 : 모델링, 합리적 정서행동 치료, Beck의 인지치료, 변증법적 행동치료
모델링
- 환자가 획득해야 할 바람직한 행동의 실제적, 상징적 본보기를 제공함으로써 모방 및 관찰을 통해 소기의 목표행동을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
- 묵시적인 모델링 : 환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본보기의 행동을 배우는 것
- 현시적인 모델링 : 역할수행 연습과 같이 환자가 스스로 모방하고 있음을 자각하는 것
- 직접적인 모델링 : 실제 환경 장면에서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것
- 대리적인 모델링 : 환자로 하여금 필름이나 비디오테이프를 통해 본보기가 되는 제삼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본뜨게 하는 것
합리적 정서적 행동치료(REBT)
- 모든 행동(결과)은 그것이 부적응적이건 아니건, 사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사건에 대한 환자의 해석에 의해 결정됨
- ABCDEF모델 : 발생한 사건에 대한 신념이 결과적 감정과 행동을 유발. 이것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신념이 비합리적인 것이기 때문. 이러한 비합리적 신념은 논박을 통해 효과적인 것으로 변화되고 그 결과 새로운 감정과 행동이 나타남
Beck의 인지치료
- 자동적 사고 : 어떤 사건을 접하게 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떠 올리는 생각
- 인지도식 : 자기와 세상을 이해하는 틀
- 역기능적 인지도식 : 인지 도식이 부정적인 성질인 것
- 역기능적인 인지도식은 인지적 오류를 유발하고 이는 부정적 사고로 이어져서 심리적인 문제 발생
- 인지적 오류 : 현실을 제대로 지각하지 못하거나 사실 및 그 의미를 왜곡하여 받아들이는 것
- 인지삼제 : 자신, 미래, 세상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 치료목표 : 자기 자신과 세상에 대한 왜곡된 인지 수정, 역기능적인 신념을 좀 더 현실적이고 유연한 신념으로 변화시키는 것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 경계선 성격장애의 치료를 위해 고안
- 변증법적 갈등을 겪는 이유는 잘못된 타협 형성 때문. 이에 잘못된 타협 형성으로 인한 긴장감을 잘 다루고 균형을 찾을 수 있게 도와주는 치료적 접근을 사용
- 마음 챙김 : 흐트러지지 않고 비판적이지 않으면서 순간을 인식하는 능력을 습득
- 감정조절 : 감정을 규명하고 감정이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주는 효과를 인식하며 부정적인 감정상태를 바꾸고 긍정적인 감정을 일으키는 행동을 증가시키는 법을 배우는 것
- 고통 인내 :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 법과 자기 위로법을 배우는 것
- 대인관계 효과성 : 대인관계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자신의 요구와 욕구를 적절하게 충족시키며, 다른 사람들이 원치 않는 요구 시 적절하게 거절하는 방법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실주의 상담의 8단계 원리(Glasser) (0) | 2023.06.07 |
---|---|
실존주의 상담에서 내담자의 자기인식능력 증진을 위한 상담자의 치료원리 (0) | 2023.06.04 |
타바코 금단 증상과 원인, 치료(담배 니코틴 금단) (1) | 2023.05.31 |
MMPI-2 임상 소척도(척도2 우울증, 척도3 히스테리, 척도4 반사회성) (0) | 2023.05.30 |
환자를 평가하기 위해 면담할 때 유의해서 보아야 하는 사항 (0) | 2023.05.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