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머리카락을 지속적으로 뽑게되는 발모광 진단기준, 원인, 치료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머리카락을 지속적으로 뽑게되는 발모광 진단기준, 원인, 치료

by &@#*$ 2023. 5. 8.

발모광(Trichotillomania)은 지속적으로 머리나 다른 부위의 모발을 뽑는 강박적인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대개 스트레스나 불안감 등 감정적인 어려움과 관련됩니다. 발모광의 원인과 진단기준, 치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발모광 진단기준

① 반복적으로 자신의 털을 뽑아 현격한 털의 상실을 초래한다.
② 털(머리, 겨드랑이 등 전 신체 영역에 나는 털)을 뽑으려는 행동을 줄이거나 중단하려고 반복적으로 시도한다.
③ 임상적으로 유의한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 장애를 초래한다.
④ 장애는 다른 의학적 상태(피부과적 질환 등)에 의한 것이 아니다.
⑤ 장애는 다른 정신 장애(신체 변형 장애 등)로 설명되지 않는다.
※ 털을 뽑는 행동은 긴장감, 불안, 지루함 등의 정서에 의해 촉발된다(털을 뽑은 다음에 안도한다).
 

대개 감정적인 어려움과 관련되어 있는 발모광
대개 감정적인 어려움과 관련되어 있는 발모광

발모광 원인

① 아동의 경우 어머니와의 이별과 상실에 의해 생기기도 한다.
② 엄마를 위협적으로 지각할 때 발생하기도 한다.
유전적 요인 : 가족력이 강한 경우가 많아 유전적인 변이와 연관되어 있기도 한다.
심리적 요인 : 스트레스나 불안과 같은 요인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경험적 요인 : 아동기 시절의 외상 경험과 같은 요인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생물학적 요인 :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나 뇌 구조적인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⑦ 발모광의 원인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유전적인 요인도 있을 수 있지만 대개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 자존감 부족, 외모에 대한 불만족 등의 감정적인 어려움과 관련되어 있다

발모광 치료

① 발모광의 치료는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될 수 있는데 환자가 자신의 증상과 그 증상이 발생하는 원인을 인식하도록 돕는 인지행동치료가 효과적이라고 알려지고, 최면요법과 바이오피드백 등을 이용한 행동치료, 가족관계에 기초를 둔 정신역동적 치료, 분석적 정신치료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효과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② 전문가의 안내에 따라 항불안제, 항우울제, 항정신병 약물이나 세로토닌계 약물을 사용하여 치료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