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잠재적인 심리적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MMPI는 주요 상승척도쌍으로 심리적 특성과 문제를 분석합니다. 다음은 MMPI 주요 상승척도쌍 유형에 대한 해석입니다.
1-2 또는 2-1 코드(Hs & D)
① 신체기능에 몰두함으로써 수반되는 다양한 신체적 증상에 대한 호소와 염려를 보인다.
② 정서적으로 불안감과 긴장감을 느끼며, 감정 표현에 어려움이 있다.
③ 보통 내향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 수동적 의존적인 양상을 보인다.
④ 사소한 자극에도 쉽게 안정을 잃으며, 의심과 경계심을 품는다.
⑤ 억압과 부인, 신체적 방어를 통해 스스로 신체적 불편함을 견디려 하므로 정신적 치료를 통하여 변화하려는 동기가 부족하다.
⑥ 신체형 장애 중 신체화 장애, 우울증 또는 불안증의 진단이 가능하다.
1-3 또는 3-1 코드(Hs & Hy)
① 심리적인 문제가 신체적인 증상으로 전환되어 나타난다.
② 자신의 외현적 증상이 심리적인 요인에 의한 것임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③ 억압 및 부인의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자신의 우울감이나 불안감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④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사지의 통증이나 두통 흉통을 보이며 식욕부진, 어지럼증, 불면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⑤ 자기중심적인 동시에 의존적인 성향을 나타내며, 대인관계에 있어서 피상적이다.
⑥ 신체형 장애 중 전환장애의 진단이 가능하다.
2-6 또는 6-2(D & Pa)
① 심각한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정신병 초기의 환자에게서 종종 나타난다.
② 평소 우울한 상태에 있으며, 그러한 우울한 감정에는 분노와 적개심이 내재해 있다.
③ 보통의 우울증 환자와 달리 자신의 공격성을 공공연하게 드러낸다.
④ 타인의 친절을 거부하고 곧잘 시비를 거는 등 대인관계에서 문제를 드러낸다.
⑤ 보통의 상황에 대해 악의적인 해석을 내린다.
⑥ 척도 6(Pa)이 척도 2(D) 보다 높은 경우 편집성 성격장애나 정신분열증의 진단이 가능하다.
2-7 또는 7-2 코드(D & Pt)
① 불안하고 우울하며, 긴장하고 예민한 모습을 보인다.
②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식욕부진, 불면증 등의 신체적인 증상을 호소하며, 이는 환자의 만성적인 긴장상태를 반영한다.
③ 완벽주의 성향으로 인해 사소한 문제에 집착하며, 자신의 결함에 대해 열등감과 죄책감을 느낀다.
④ 대인관계에 있어서 수동적 의존적인 양상을 보이며, 특히 다른 사람들로부터 보호적인 행동을 유도한다.
⑤ 도덕적 종교적인 성향이나 자기 억제력이 풀리는 경우 일탈행동을 보이며 심지어 자살을 생각하기도 한다.
⑥ 우울장애, 불안장애, 강박장애의 진단이 가능하다.
2-8 또는 8-2(D & Sc)
① 2-8 상승척도쌍을 가진 환자의 경우 심한 불안과 우울, 자제력 상실에 대한 공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고장애를 보이거나 강박적 명상에 빠지기도 한다. 대인관계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살을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② 8-2 상승척도쌍을 가진 환자의 경우 심한 불안과 우울은 물론 정신분열증적 양상이 포착되기도 한다. 과거 대인관계에서 비롯된 상처로 인해 다른 사람과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고 한다. 환청, 환시, 망상에 사로잡히기도 하며, 기태적인 신체적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③ 2-8 또는 8-2 상승척도쌍을 가진 청소년 환자들은 불안과 우울 등의 부적절한 정서적 반응을 보인다. 성적 갈등이나 대인관계에서의 두려움으로 인해 학교생활에서 부적응적인 양상을 보이며, 무단결석을 자주 한다. 특히 이와 같은 유형의 청소년들은 자살기도의 경험이 있는 경우가 많다.
④ 우울장애, 불안장애, 분열정동장애의 진단이 가능하다.
3-8 또는 8-3 코드(Hy & Sc)
① 심각한 불안과 긴장, 우울감과 무기력감을 호소한다.
② 주의력 장애 및 집중력 장애, 지남력 상실, 망상 및 환각 등의 사고장애를 보인다.
③ 정서적으로 취약하고 다른 사람에 대해 애정과 관심의 욕구를 가진다.
④ 자신의 욕구가 좌절되는 경우 자기 처벌적인 양상을 보이며, 상동증적 방식으로 문제에 접근한다.
⑤ 과도한 정신적 고통이 두통이나 현기증, 흉통, 위장장애 등의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⑥ 정신분열증, 신체화 장애의 진단이 가능하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인터넷 중독(중독자 특징, 중독단계, 중독증후, 치료재활) (0) | 2023.06.18 |
---|---|
MMPI 주요 상승척도쌍 유형에 대한 해석- 2 (0) | 2023.06.17 |
탈억제 사회 관여 장애 (0) | 2023.06.16 |
반응성 애착 장애 진단기준, 원인과 치료 (0) | 2023.06.14 |
아동 대상의 면접 과정에서 상담자가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 (0) | 2023.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