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중독이란 인터넷 사용에 있어서 자율적인 통제가 불가능하고, 인터넷 사용에 병적으로 집착하는 행위중독을 말하며 중독성 물질이 없는 충동조절장애에 해당합니다. 인터넷 중독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인터넷 중독자의 특징
① 가상세계에 집착하며, 가상공간과 현실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한다.
② 인터넷 사용에의 과도한 집착으로 인해 금단이나 내성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가정이나 학교, 직장 생활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한다.
③ 충동적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죄책감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
④ 자신감이 부족하며, 자존감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 현실세계에 대해 부정적인 사고를 가진다.
⑤ 사회활동에 대한 열의가 결여되어 있다.
⑥ 사회활동에 대한 열의가 결여되어 있다.
⑦ 대인관계에 문제를 보이며, 가족 내 갈등이 심각하다.
⑧ 사회적 규칙과 도덕 그리고 윤리에 무관심하다.
⑨ 일탈행동을 통해 사회적 사건에 연루되기도 한다.
⑩ 두통, 심장마비, 혈전 등의 건강상 문제를 보인다.
인터넷 중독자 발생의 4대 요인
인터넷 특성 요인 | *익명성 * 상호작용성 * 반응 즉시성 |
기질적 요인 | * 자기 통제력 약화 *자기존중감 결여 * 공격성 및 우우성 * 부모의 중독적 성향 |
심리적 요인 | * 소외감 및 외로움 * 무력감 *개인적 좌절 경험 * 애정 부족 등의 정서적 반응 |
환경적 요인 | * 개인적 사회적 스트레스 * 정보 문화 환경의 불건전성 * 대인적 놀이문화의 부족 * 부모의 그릇된 태도 및 습관 |
인터넷 중독의 3단계
① 제1단계 - 호기심
- 인터넷 게임, 성인사이트, 사이버 채팅에 호기심을 가지고 참여한다.
- 정기적인 접속을 통해 온라인상에서 정보를 교류한다.
② 제2단계 - 대리만족
- 인터넷을 통해 현실에서 느끼기 어려운 즐거움을 만끽한다.
- 폭력성 사행성 음란성의 내재적인 본성을 드러낸다
- 익명성을 통해 가상현실 속에서 자유롭게 활동한다.
③ 제3단계 - 현실탈출
- 오로지 인터넷으로의 접속 상태를 희망한다.
- 가상세계의 환상에 사로잡혀 현실을 인식하는 데 장애를 초래한다.
- 현실세계의 질서와 규범을 무시하며, 사회적 사건의 주인공이 된다.
인터넷 중독의 증후
① 내성, 금단, 남용 증상이 있다.
② 현실에 대한 적응 및 일상생활에서의 곤란을 경험한다.
③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에 문제가 발생한다.
④ 수면장애가 발생한다.
⑤ 과도한 인터넷 사용으로 수업에 집중하기 어렵고, 수업시간에 잠을 자기도 한다.
⑥ 가족이나 또래친구와 소원해지는 등 대인관계에 문제가 발생한다.
⑦ 하루도 빠짐없이 인터넷을 한다.
⑧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시간 가는 줄 모른다.
⑨ 인터넷 사용으로 상당한 시간을 소모한다는 사실을 부인한다.
⑩ 식사시간이 줄어들며, 모니터 앞에서 식사를 하기도 한다.
⑪ 가족이나 주위사람들이 모니터 앞에 너무 오래 앉아있다고 나무란다.
⑫ 가족이 없는 경우 오히려 편안한 마음으로 인터넷을 한다.
인터넷 중독의 치료재활(DREAM)
① Danger(위험) :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을 분석하고 인터넷 사용의 점검을 통해 인터넷 중독의 원인 및 위험 요소와 함께 그로 인한 손실을 명확히 파악한다.
② Return(반향) : 평소 인터넷 중독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인터넷 중독자 스스로 위험을 인식하도록 도움으로써 변화에 대한 동기 및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③ Evaluate(평가) : 상담센터를 이용하여 인터넷 중독 상태를 평가하는 등 인터넷 과몰입 상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진단한다.
④ Appreciate(이해) : 청소년 문화에 대한 이해와 변함없는 신뢰 형성의 노력을 통해 그들의 인격적인 가치를 인정해 주고 지지해 준다.
⑤ Miracle(기적) : 인터넷 중독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는 동시에 미래 기적을 창조하기 위한 생활 개조에 착수함으로써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에서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장을 위한 도전 : 자기 효능감 높이는 방법 (0) | 2023.06.21 |
---|---|
가족치료 중 이야기 치료의 기법 "정의예식" (0) | 2023.06.20 |
MMPI 주요 상승척도쌍 유형에 대한 해석- 2 (0) | 2023.06.17 |
MMPI 주요 상승척도쌍 유형에 대한 해석- 1 (0) | 2023.06.16 |
탈억제 사회 관여 장애 (0) | 2023.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