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알아본 다면적 인성검사의 주요 상승척도쌍에 이어 계속 MMPI주요 상승척도쌍 유형에 대한 해석을 살펴보겠습니다.
4-6 또는 6-4 코드(Pd & Pa)
① 사회적 부적응이 현저하고 공격적 태도를 보이는 비행청소년에게서 종종 나타난다.
② 미성숙하고 자기중심적인 성향을 보이며, 다른 사람들에게서 관심과 동정을 유도한다.
③ 화를 내면서 내부의 억압된 분노를 표출하나, 그 분노의 원인을 항상 외부에 전가한다.
④ 부인이나 합리화의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자신의 심리적인 문제를 외면하며, 이를 지적하는 사람에게 분노와 비난을 퍼붓는다.
⑤ 다른 사람을 의심하며, 정서적인 유대관계를 맺지 않으려고 한다.
⑥ 비현실적인 사고를 하기도 하며, 자신에 대해 과대망상적인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⑦ 수동-공격성 성격장애, 편집형 정신분열증의 진단이 가능하다.
4-8 또는 8-4 코드(Pd & Sc)
① 특이한 행동이나 심리상태를 가지고 있는 비행청소년에게서 종종 나타난다.
② 분열성 또는 분열형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형성을 회피하여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③ 변덕스럽고 충동적이며, 사회적 관습에서 벗어나 기이한 옷차림과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④ 판단력, 통찰력, 의사소통능력 등이 부족하여 학업적 직업적 성취도가 낮으며, 알코올이나 약물을 남용하기도 한다.
⑤ 편집형 정신분열증, 분열성 성격장애, 편집성 성격장애의 진단이 가능하다.
4-9 또는 9-4 코드(Pd & Ma)
① 재범 우려가 있는 범죄자나 신체노출, 강간 등의 성적 행동화를 보이는 사람, 결혼문제나 법적 문제 등에 연루된 사람에게서 종종 나타난다.
② 충동적 반항적 성격과 함께 과격하고 공격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한다.
③ 일시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도 하지만, 자기중심적 성향과 다른 사람에 대한 불신으로 대인관계가 피상적이다.
④ 자신의 행동에 대해 무책임하여 신뢰감을 주지 못하며, 사회적 가치를 무시하여 반사회적 범죄행위를 저지르기도 한다.
⑤ 합리화의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자신의 문제를 외면하며, 실패의 원인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하기도 한다.
⑥ 반사회성 성격장애, 양극성 자애의 진단이 가능하다.
6-8 또는 8-6 코드(Pa & Sc)
① 편집증적 경향과 사고장애 등으로 편집증적 정신분열병이 의심되는 사람에게서 종종 나타난다.
② 피해망상, 과대망상, 환청 등으로 작은 고통에도 괴로워한다.
③ 타인에 대해 적대감과 의심, 과민한 반응과 변덕스러운 태도를 보이는 등 타인과의 관계가 불안정하다.
④ 현실을 인지하는 능력을 상실하여 자폐적이고 분열적인 환상에 빠지기도 하며, 성적인 문제에 갈등을 나타낸다.
⑤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감정이 둔화되고 부적절한 양상을 보이며, 우울증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⑥ 편집형 정신분열증, 분열성 성격장애, 편집성 성격장애의 진단이 가능하다.
7-8 또는 8-7 코드(Pt & Sc)
① 불안하고 우울하며, 긴장하고 예민한 모습을 보인다.
② 주의집중에 어려움을 호소하며, 사고력이나 판단력에 장애를 보이기도 한다.
③ 사회적 상황에서 현실회피적인 양상을 보이며, 대인관계에 있어서도 수동적 의존적이거나 대인관계 자체를 기피하기도 한다.
④ 성과 관련된 공상을 즐기나 성숙한 이성관계의 형성에 어려움을 보인다.
⑤ 망상, 감정적 둔마를 보이기도 한다.
⑥ 우울장애, 불안장애, 분열성 성격장애, 분열형 성격장애의 진단이 가능하다.
8-9 또는 9-8 코드(Sc & Ma)
① 편집증적 망상과 환각, 공상으로 많은 시간을 보낸다.
② 사고는 기태적이며, 정서는 부적절하다.
③ 한 가지 생각에 집중하지 못하며, 예측불허의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④ 다른 사람에 대한 의심과 불신으로 인해 친밀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기 어렵다.
⑤ 성적 적응에 어려움을 보이며, 성적인 문제에 갈등을 나타낸다.
⑥ 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의 진단이 가능하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치료 중 이야기 치료의 기법 "정의예식" (0) | 2023.06.20 |
---|---|
청소년 인터넷 중독(중독자 특징, 중독단계, 중독증후, 치료재활) (0) | 2023.06.18 |
MMPI 주요 상승척도쌍 유형에 대한 해석- 1 (0) | 2023.06.16 |
탈억제 사회 관여 장애 (0) | 2023.06.16 |
반응성 애착 장애 진단기준, 원인과 치료 (0) | 2023.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