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예식"은 이야기 치료의 한 기법으로, 개인이나 그룹의 이야기를 통해 자기 개념, 정체성, 감정, 경험 등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접근 방법입니다. 이야기 치료의 기법 정의예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의예식이란
정의예식이란 이야기 치료의 한 기법으로 치료 과정에서 한번 말해진 것(Telling)을 옆에서 지켜본 청중이 그것에 대해 다시 말하고, 이것을 들은 처음 내담자가 자신의 반응을 다시 말하는 식으로 대화를 진행해 나간다. 만일 세 명의 가족이 함께 치료자를 만나러 왔다면 그중에 한 명이 치료자와 처음 대화를 나눈다(Telling). 그러면 나머지 두 명의 가족은 그 첫 번째 대화의 청중이 된다. 그러고 나서 나머지 두 가족이 자신이 무엇을 들었는지에 대하여 치료자와 대화를 나누는데 이것이 두 번째 대화 즉, 'Retelling'이 된다. 다시 이들이 청중으로 물러나고 첫 번째 대화를 나눈 내담자가 다시 이야기하는 동안에 자기에게 무엇이 일어났는지에 대해 치료자와 대화를 나눈다(Retelling Of Retelling). 만일 보이지 않는 벽이 청중과 대화자들 사이에 있다고 가정한다면, 그들은 현재 대화 중에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보고 들을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의 차례가 올 때까지는 그 대화에 끼어들 수 없다. 이렇게 Telling과 Retelling을 하는 과정을 통해 사람들의 인생에 대한 묘사는 점점 더 풍부해질 수 있다. 정의예식은 사람들의 삶과 정체성에 관한 풍부한 묘사를 끌어내기 위해 대화의 맥락을 조직하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대한 거리를 두고 볼 수 있게 하기 위한 장치이기도 하다.
외부증인의 역할
① 주인공 이야기의 특정 부분을 인정해 줌으로써 주인공 이야기가 풍부하게 발전하도록 돕는다.
② 주인공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들어준 다음 그중 특별히 마음에 와닿는 부분에 대해 다시 말하기를 수행한다.
③ 다시 말하기를 통해 그 부분을 설명하는데, 이 과정에서 외부증인 자신의 이야기를 지나치게 강요하지 않는다.
④ 그 부분이 왜 마음에 와닿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외부증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설명한다.
⑤ 의견이나 충고, 평가, 설명 등 타인의 삶에 대해 사람들이 보이는 일상적인 반응은 피한다.
반영적 대화(1차 다시 말하기)
외부증인이 내담자 이야기의 특정 부분에 대해 말한다. 외부증인은 내담자 이야기 가운데 자신에게 각별한 의미가 있었던 특정 부분에 초점을 두고 다음 순서에 따라 다시 말하기 행위를 실시한다.
① 특정 부분 주목하기 : 예식 주인공의 이야기를 듣는 가운데 당신의 관심을 끌었던 표현은 어떤 것입니까?
② 이미지 설명하기 : 주인공 삶의 목적, 가치, 신념, 희망 꿈, 현실의 대상 등과 관련하여 이 표현을 듣고 어떤 이미지를 떠올렸습니까?
③ 반응 형상화하기(공명) : 당신의 삶이나 일과 관련하여, 그 표현이 왜 당신의 관심을 끌었는지를 설명해 줄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까?
④ 지점 이동을 인정하기 : 삶에 대한 그 같은 표현을 현장에서 목격하면서 이전과는 다른 지점에 와 있는데, 그 위치가 이전의 위치와 어떻게 다릅니까? 이 경험으로 인해 당신은 어디에 서게 되었습니까? 그 표현을 목격함으로써 또 이야기에 응답함으로써 당신이 예전의 당신과 어떻게 다른 사람이 되었습니까?
다시 말하기의 다시 말하기(2차 다시 말하기)
일반적으로 예식의 주인공이 말하게 된다. 1차 말하기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다시 말하기의 다시 말하기의 다시 말하기(3차 다시 말하기)
일반적으로 외부증인이 말하게 된다. 1차 말하기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말하기와 다시 말하기가 교대로 이루어지면서 사람들의 삶에 대한 대안적 주제와 대안적 줄거리가 풍부해지며, 그런 주제를 통해 그 주제에 담겨 있는 가치, 목적, 헌신의 대상 등을 통해 모든 참여자가 서로의 삶이 연결되는 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결정성 이론에서 상정하는 동기조절의 유형 (0) | 2023.06.24 |
---|---|
성장을 위한 도전 : 자기 효능감 높이는 방법 (0) | 2023.06.21 |
청소년 인터넷 중독(중독자 특징, 중독단계, 중독증후, 치료재활) (0) | 2023.06.18 |
MMPI 주요 상승척도쌍 유형에 대한 해석- 2 (0) | 2023.06.17 |
MMPI 주요 상승척도쌍 유형에 대한 해석- 1 (0) | 2023.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