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후기 가족치료 이론 : 포스트모더니즘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후기 가족치료 이론 : 포스트모더니즘

by &@#*$ 2023. 3. 28.

후기 가족치료 이론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현대적인 이론과 관행에 대한 비판적 태도에서 출발하며, 이러한 비판적 태도는 가족치료에서 기존의 가족모델들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새로운 가족모델들을 창출하는데 영향을 미칩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인간의 경험과 인간의 이해에 대한 진취적인 방법론을 통해 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과 전략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포스트모더니즘

① 모더니즘이 본질주의, 보편주의, 이분법적 사고를 강조한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다양성, 차이, 비본질주의를 강조한다.
② 객관적 지식과 절대적 진실이 가능하다는 모더니즘의 신념에 도전하며, 인간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존재하는 하나의 우주가 아니라 각자의 관찰과 인식 행위를 통해 다르게 구성된 여러 우주에 살고 있다고 가정한다.
③ 사실은 관점으로 대체되며, 절대적으로 옳은 기준은 없다고 가정한다.
④ 모더니즘 성향의 상담은 인간의 문제를 문제 중심적으로 접근하며, 인성적인 특성이나 가족 상호작용이 기능적인지 혹은 역기능적인지에 중점을 두었다면, 포스트모더니즘 성향의 상담은 무엇이 기능적이고 역기능적인가는 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후기구조주의

① 철학이나 사회과학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현상으로서, 구조주의 이후에 등장한 이론 및 비평방법으로서 구조주의에서 변화된 이론으로 이해되기도 하고 구조주의를 반박하는 이론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② 모든 현상에는 심층적인 구조가 있고, 또 구조는 구성요소로 분해할 수 있다는 환원주의 관념을 거부한다.
③ 서구 철학이 선과 악의 이분법적 구분, 절대적 진리의 추구 등 존재하지 않는 것에 지나치게 집착해 왔다고 비판한다. 후기구조주의는 우리의 대화, 행동, 정서적 표현의 기저를 이루면서 당연시되고 있는 담론과 범주와 가정을 분해하며, 절대적 진리라고 여겨지는 것을 분해한다.

가족상담의 발달배경
가족상담의 발달배경

구성주의와 사회구성주의

① 구성주의와 사회구성주의는 둘 다 지식의 본질을 다루며 실재를 객관적으로 서술할 수 있다는 관념을 거부한다.
② 그 누구도 객관적 실재를 알 수 없다는 입장이며, 실재에 대한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영향력에 초점을 둔다.
③ 사회적 실재를 구성하는 신념, 가치, 제도, 관습, 명칭, 법률, 노동과 같은 모든 것은 문화의 구성원이 세대를 통해 서로 상호작용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