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지능검사(웩슬러)에서 나타나는 진단별 반응 특징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지능검사(웩슬러)에서 나타나는 진단별 반응 특징

by &@#*$ 2023. 3. 23.

지능검사는 다양한 종류의 진단별 반응 특징을 보일 수 있습니다.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나타나는 진단별 반응 특징을 아래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1. 강박 장애 

① 전체 지능지수가 110 이상이다.

② 주지화로 인해 상식, 어휘문제 점수가 높다. 판단능력 장애로 인한 것이 아니라 회의적 경향으로 인해 이해 점수가 낮다.

③ 언어성 지능이 동작성 지능보다 높다. 강박적인 주지화 경향을 반영한다.

2. 기질적 뇌손상

① 토막 짜기, 바꿔 쓰기, 차례 맞추기, 모양 맞추기 점수가 낮다.

② 숫자 외우기 소검사에서 '바로 따라 외우기'와 '거꾸로 따라 외우기' 점수 간에 큰 차이를 보인다.

③ 공통성 문제의 점수가 낮다. → 개념적 사고의 손상을 나타낸다.

④ 어휘, 상식, 이해 소검사의 점수는 비교적 유지되어 있다.

3. 반사회성 성격 장애

① 동작성 지능 > 언어성 지능(월등한 차이를 보인다) 

② 바꿔 쓰기, 차례 맞추기 점수는 높고, 공통성 소검사 점수는 낮다.

③ 되는대로 노력 없이 아무렇게나 대답하는 경향이 있다.

④ 지나친 관념화, 주지화, 현학적인 경향을 보일 수 있다.

⑤ 소검사 간 분산이 심한 편이다.

⑥ 사회적 규준에 따르지 못한다.

⑦ 사회적 상황에 대한 예민성을 보인다.

 

4. 불안 장애

① 숫자 외우기, 산수, 바꿔 쓰기, 차례 맞추기 점수가 낮다.

②  사고의 와해나 혼란은 없다.

 

5. 우울증 

① 쉽게 포기하는 경향이 있고, 전반적으로 반응이 느리다.

② 언어성 검사에서는 어휘문제나 이해문제와 같이 긴 언어표현을 요하는 소검사에서 낮은 점수를 보이며, 산수문제, 숫자 외우기와 같이 주의력 및 주의집중력을 요하는 소검사에서 상대적으로 저조한 양상을 보인다.

③ 동작성 검사에서는 사회적 인과관계와 대인관계 양상을 반영하는 차례 맞추기, 시간제한이 있거나 민첩한 정신-운동 속도를 요하는 빠진 곳 찾기, 기호 쓰기 등에서 상대적으로 저조한 양상을 보인다.

④ 언어성 지능이 동작성 지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⑤사고의 와해는 없으나 반응의 질적인 측면에서 정교하거나 능숙한 모습이 결여된 양상을 보인다.

⑥ 정서적 우울, 자신감 부족, 높은 긴장 수준으로 인해 정신운동 속도와 문제해결에의 능동성 및 융통성과 연관된 시각조직능력이 토막 짜기나 모양 맞추기, 빠진 곳 찾기 등을 통해 상대적으로 저하된 양상을 보인다.

⑦ 친숙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상황에서 인지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데 비효율성을 보인다.

⑧ 검사 과정에서 쉽게 포기의 의사를 보이거나 인내심이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

6. 정신증

① 지적 기능의 심한 불균형으로 인해 기본지식, 어휘문제에서 극단적인 분산을 보인다.

② 언어성 기능이 동작성 기능에 비해 월등히 높다(동작성 지능이 장애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③ 쉬운 문항에서 잦은 실패를 보이고 문항을 잘못 이해한다.

④ 사회적응능력의 결여로 인해 이해문제, 차례 맞추기에서 낮은 점수를 보인다.

⑤ 공통성 문제에서의 하락과 기본지식, 어휘문제에서의 상승은 기억력이 비교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능력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⑥ 주의집중력의 결여로 인해 산수문제, 빠진 곳 찾기에서 낮은 점수를 보인다.

⑦ 토막 짜기에서의 낮은 점수는 뇌손상이나 뇌기능 장애를 시사한다. 

⑧ 숫자 외우기에서의 낮은 점수는 정신분열이나 정신병적 우울을 시사한다.

 

7. 히스테리성 성격 장애

① 쉬운 문항에 실패한다.

② 산수 소검사에서 특히 쉽게 포기하는 경향을 보인다.

③ 상식문제에 비해 이해문제 점수가 높고 토막 짜기, 차례 맞추기 점수가 높다.

④ 도덕적인 반응내용을 보인다.

⑤ 사고의 와해 징후는 없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