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상풍은 일정한 야외에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중에서 여러 가지 상처로 인한 감염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파상풍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과 오염물질을 잘 알고 대처하고, 파상풍의 발병을 미리 예방하는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도움 될 수 있습니다. 이번글에서는 파상풍 초기증상 및 파상풍 주사 예방접종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파상풍이란
파상풍은 파상풍균(Clostridium tetani)의 독소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파상풍균은 먼지, 흙, 동물 배설물 등으로부터 상처를 통해 신체로 침입하여 독소를 생성하게 됩니다. 상처의 정도가 깊고 오염될 때 독소가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상처 부위의 근육 경직과 통증을 유발합니다. 심각한 경우에는 턱과 목 등의 호흡근에 영향을 미쳐 호흡곤란과 더불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파상풍 원인
파상풍의 원인은 대개 흙이나, 먼지, 타액, 사람과 동물의 배설물 같은 환경에서 증식하는 파상풍균의 독소가 상처를 통해 침입하여 발생됩니다. 파상풍균이 있는 환경이나 오염물체와 관련된 '깊은 상처'가 있거나 유리나 나무, 금속, 못 등에 '찔림 상처', '화상' 등의 상처를 통하여 체내로 침입하여 증식하면 중추 신경계를 중심으로 한 근육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파상풍 초기증상
1. 파상풍은 3 ~21이의 잠복기를 가진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편으로 대개 14일 이내 평균 8일에 발병하고 짧은 잠복기를 가질수록 경과가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파상풍의 초기증상으로 감염된 상처 주변의 근육이 뻣뻣하고 딱딱해지는 근육 수축현상이 발생합니다. 또한 상처 주변에 통증이 생기고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발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파상풍 초기증상에서 점차 진행되면서 목과 턱의 근육이 수축되고 점진적으로 입을 열지 못하는 개구불능의 상태이거나 삼키기 어려운 마비증상이 나타납니다. 지속적 진행에 따른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발열과 오한, 두통을 동반한 전신 근육의 수축으로 전신경련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파상풍 발병 위험군은?
1. 파상풍의 예방을 위해 파상풍 백신 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은 감염의 위험이 높습니다.
2. 파상풍은 상처를 통하여 침입하여 발병하므로 상처가 있는 사람은 위험이 더 높아집니다.
3. 파상풍 균의 환경에 노출될 수 있는 농업이나 정원 관련 직업군에서 또한 위험이 높아집니다.
4. 전쟁이나 재해에 따라 이동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좋지 않은 위생상태와 제한된 의료시설로 위험에 노출됩니다.
5.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와 노인층에서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6. 이 밖에 건강을 위한 파상풍 예방접종을 하지 않고 맨발 걷기를 즐겨하는 사람도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파상풍 주사 예방접종
파상풍의 접종 대상은 모든 영유아, 청소년, 성인입니다. 파상풍 주사는 생후 2, 4, 6개월에 3회 각각 기초접종과 이후에는 생후 15 ~18개월, 만 4~6세에 각각 1회 추가접종, 만 11~12세에 1회 접종 후 매 10년마다 추가 접종을 받습니다. 또한 이후에도 일정하게 접종스케줄에 맞춰 보충접종을 따르도록 하고 상처가 크거나 시간이 오래 경과한 때는 파상풍 백신의 접종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
파상풍 예방
1. 파상풍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파상풍 주사 백신을 아동기에 시작하여 일정한 간격의 정기적 접종을 합니다.
2. 몸에 상처가 생기면 상처를 깨끗이 하고 소독하여 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합니다.
3. 흙이나 배설물 등의 오염된 환경에서의 작업은 보호 장비를 하고 깨끗한 환경과 위생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4. 일정기간의 경과 후에는 파상풍 백신의 보충을 의료전문가와 상담하여 접종받도록 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눈 생기는 이유 및 티눈 제거 (0) | 2023.11.08 |
---|---|
역류성 식도염 증상 및 원인, 치료 정리 (0) | 2023.11.07 |
딸꾹질 원인 및 딸꾹질 멈추는법 (1) | 2023.11.04 |
코피 자주나는 이유와 코피 멈추는법 (1) | 2023.11.03 |
편도 결석 원인 및 증상, 편도 결석 제거 법 정리 (1) | 2023.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