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정신분석상담의 특징과 과정, 정신분석상담의 기술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정신분석상담의 특징과 과정, 정신분석상담의 기술

by &@#*$ 2023. 3. 21.

정신분석상담은 정신분석학의 이론과 기법을 바탕으로 심리적인 문제를 다루는 상담 방법입니다. 내담자의 무의식적인 내면을 탐구하여 자신의 문제를 직면하고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정신분석상담의 특징과 과정, 정신분석상담의 기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정신분석상담의 의의 및 특징

① 인간심리에 대한 구조적 가정 및 여러 가지 형태의 부적응 행동에 대한 역동적 이해 등의 이론적 배경에 기초를 둔다.
② 인생의 초기 경험을 중시하며, 무의식 혹은 심층에 숨어 있는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여 그것을 의식의 세계로 노출시킴으로써 자아의 기능을 강화한다.
③ 건전한 성격이란 '자아(Ego)'가 '초자아(Superego)'와 '원초아(Id)'의 기능을 조정할 능력이 있어서 적절한 심적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무의식적인 내면을 탐구하는 정신분석상담
무의식적인 내면을 탐구하여 자신의 문제를 직면하고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정신분석상담


④ 정신분석상담은 집단 활동을 통해 개별성원이 과거의 일을 재 경험하도록 하므로 무의식적 갈등을 의식화하여 그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⑤ 정신분석상담은 무의식적 심리과정과 동기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고 역사적인 근거를 탐색함으로써 현재의 문제행동을 해결하는 것을 치료의 초점으로 삼는다.
⑥ 무의식적 자료에 접근하기 위해 환자들의 관념이나 느낌, 환상 등을 우선 거리낌 없이 자유롭게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정신분석상담의 과정

초기단계(제1단계)

  • 상담자는 내담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하며, 자유연상과 꿈의 분석을 통해 내담자의 심리적인 문제를 드러낸다.
  •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수용의 자세를 보임으로써 내담자는 상담자에게 의존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전이에 대한 욕구가 촉진된다.

전이 단계(제2단계)

  • 내담자는 유아기 때 중요한 대상에게 가졌던 감정을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반복하려고 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의 전이 욕구에 대해 중립적인 자세로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내담자의 욕구를 좌절시킨다. 

통찰 단계(제3단계)

  • 내담자는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이 애정과 의존 욕구의 좌절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게 된다.
  • 내담자는 상담자에게 자신의 욕구가 좌절된 것에 대한 반감을 표시할 수도 있다.

훈습 단계(제4단계)

  • 상담자는 내담자가 통찰한 것을 실제 생활로 옮기도록 조력한다.
  • 훈습에 의해 내담자의 변화된 행동이 안정 수준에 이르게 되면 종결을 준비한다.

정신분석상담의 기술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 내담자에게 무의식적 감정과 동기에 대해 통찰하도록 하기 위해 마음속에 떠오르는 것을 의식적인 검열을 거치지 않은 채 표현하도록 격려하는 것이다. 
  • 내담자는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개방함으로써 더 이상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억압하지 않은 채 자유로울 수 있다.

해석(Interpretation)

  • 내담자가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의 문제들을 돌아볼 수 있도록 사건들의 의미를 설정해 주고, 자신의 문제를 새로운 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그의 경험과 행동, 행동의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 
  • 상담자는 내담자의 자유연상, 꿈, 저항, 전이 등에 내재된 숨은 의미를 통찰하며, 내담자의 사고, 행동, 감정의 패턴을 드러내거나 이를 통해 나타나는 문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로운 틀을 제공한다.

저항의 분석(Resistance Analysis)

  • 저항은 상담의 진행을 방해하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려는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 사고와 감정을 말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가 무의식적 내용의 의식화에 따른 불안감에서 벗어나도록 함으로써, 내담자의 갈등을 해소하는 동시에 상담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다.

꿈의  분석(Dream Analysis)

  • 내담자의 꿈속에 내재된 억압된 감정과 무의식적인 욕구를 꿈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통찰하도록 하는 것이다. 
  •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꿈의 내용에 대해 자유연상을 하도록 하며, 그와 관련된 감정도 이야기하도록 요구한다.

훈습(Working-through)

  • 내담자의 전이 저항에 대해 기대되는 수준의 통찰과 이해가 성취될 때까지 상담자가 반복적으로 직면하거나 설명함으로써 내담자의 통찰력이 최대한 발달하도록 하며, 자아통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 내담자의 심리적 문제에 대한 통찰을 현실 생활에 실제로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내담자의 변화를 유도한다.

버텨주기(Holding)와 간직하기(Containing)

  • 버텨주기는 내담자가 막연하게 느끼지만 스스로는 직면할 수 없는 불안과 두려움에 대해 상담자의 이해를 적절한 순간에 적합한 방법으로 전해주면서, 내담자에게 의지가 되어주고 따뜻한 배려로 마음을 녹여주는 것이다. 
  • 간직하기는 내담자가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는 충동과 체험에 대해 상담자가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대신 이를 마음속에 간직하여 적절히 통제함으로써 위험하지 않도록 변화시키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