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는 적절하게 표현하지 않으면 심리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감정 중 하나로서, 어떻게 표출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분노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적절하게 표출하는 것이 신체적, 심리적, 대인관계, 사회적 영향을 예방하고 개선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분노의 원인과 분노가 미치는 영향, 분노 조절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분노의 원인
분노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감정적인 긴장이나 스트레스, 불안, 불만, 상처, 무력감, 자존감 저하 등이 주요 원인으로 일상생활의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교통체증, 부적절한 태도의 상대방, 자신의 실수, 경제적 문제 등이 일어날 때 분노가 일어납니다. 또한 외로움이나 사회적 고립감, 부적절한 가정환경, 개인의 성격, 가정 내 문제 등도 분노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됩니다.
분노가 미치는 영향
분노는 심장박동수와 호흡속도를 증가시키고 혈압을 상승시키는 등의 생리적 영향을 미치고 상태가 지속된다면 건강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분노는 심리적 우울감, 스트레스, 자존감 저하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고, 부적절한 분노의 표출은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줄 수 있으며 대인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도 분노는 영향을 미치는 데 분노가 지속될 경우 집중력이 저하되거나 일의 진행에 방해를 줄 수 있고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부적절한 분노 표출은 사회적 비난을 받을 수 있으며, 사회적 지위와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분노 표출법
분노가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화를 내지 않는 것이 좋으며, 조용히 가만히 앉아서 감정을 잠시 가라앉히고 스스로를 진정시킵니다. 또한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천천히 내쉬면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것이 냉정함과 안정감을 유지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자신의 감정을 직접 상대방에게 전달하는데 상대방을 비난하거나 공격하지 말고, 자신의 감정을 분명하게 전달합니다. 스포츠나 요가, 명상 등의 신체적인 활동을 통해 분노를 표출하는 신체운동은 분노를 표출하면서 동시에 스트레스를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분노를 표출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분노를 찾아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자신의 감정을 완화시키고 불필요한 감정적인 충돌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분노 조절 방법
① 호흡연습
깊게 숨을 들이마시고 천천히 내쉬는 호흡 운동은 분노를 진정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몇 분 동안 호흡 운동을 하면, 분노가 가라앉고 집중력과 안정감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② 신체적 활동
운동이나 스포츠를 하면 체내 호르몬 농도가 상승하여 스트레스와 긴장을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규칙적인 운동이 스트레스와 긴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③ 자기 조절 훈련
자기 조절 훈련을 통해 분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그 감정을 평정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는 과정을 훈련하는 것입니다.
④ 긍정적인 생각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인 생각으로 바꾸면 분노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내가 매우 화가 나고 짜증이 난다" 대신에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와 같이 해결책을 찾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전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⑤ 진정한 이해
분노를 느낄 때는 상황을 분석하고 대화를 통해 진정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고, 감정을 전달하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 분노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⑥ 글쓰기
분노가 극심할 때는 이를 기록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일기를 쓰거나, 분노가 가라앉은 후 다시 돌아보면서 분석하는 것은 감정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⑦ 대인관계 개선
분노를 느끼는 이유 중 하나는 대인관계에서의 충돌입니다. 대인관계를 개선하고, 대화를 통해 감정을 표현하는 데 노력해서 분노가 생기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합니다.
⑧ 전문가의 도움
분노 조절이 어렵거나 지속적인 문제가 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습니다. 전문가와 함께 분노를 조절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구체적인 대처 방법을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분석상담의 특징과 과정, 정신분석상담의 기술 (0) | 2023.03.21 |
---|---|
노년기의 발달(신체적 변화, 인지와 성격적 변화) (1) | 2023.03.20 |
두려움의 원인과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 두려움의 예화 (0) | 2023.03.12 |
열등감 극복 방법과 열등감을 극복한 유명인 (0) | 2023.03.10 |
의존심이 강한 아이의 문제행동 원인, 특징, 대처방법 (0) | 2023.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