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노년기의 발달(신체적 변화, 인지와 성격적 변화)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노년기의 발달(신체적 변화, 인지와 성격적 변화)

by &@#*$ 2023. 3. 20.

노년기는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단계 중 하나로 생물학적, 심리적 및 사회적 변화를 겪는 과정입니다. 이 단계는 일반적으로 65세 이상으로 정의되며 개인에 따라 매우 다릅니다. 노년기의 발달은 생물학적, 심리적, 인지능력 등의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노년기의 발달을 신체적 변화와 인지와 성격적 변화, 노년 죽음에 대한 태도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신체적 변화

① 노년기의 연령 구분은 보통 65세 이후로 간주한다.
노년 전기와 노년 후기

노년기
노년기는 65세 이상으로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를 겪는 과정이다

  • 노년 전기 : 보통 65세부터 75세까지를 의미하며 이 시기의 노인들은 대부분 여전히 건강하며 만성질환에 대한 위험이 증가하지만 그렇게 높지 않고 특히 신체적으로 건강하면서 자립적인 활동이 가능한 시기이다. 노년 전기에는 일부 신체적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데 노화로 인한 근육량 감소와 뼈 밀도가 감소하여 골다공증 등의 질환, 시력과 청력의 변화, 대사속도의 저하로 체중 증가와 같은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노년 전기의 신체적 변화는 규칙적인 운동, 영양소 섭취 등으로 대처할 수 있다.
  • 노년 후기 : 노년의 후기는 보통 75세 이상을 의미하며 이 시기의 노인들은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물리적, 인지적 변화가 점점 더 많아지고, 건강과 사회적 지지를 유지하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 시기이며 신체적 기능의 약화로 인해 일상생활을 타인에게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시기이다. 노년 후기에는 근육량과 근력의 감소, 뼈 밀도 감소, 유연성과 균형 감각 감소, 심장기능과 호흡 기능이 감소하고 만성질환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노년 후기의 변화들은 노화와 함께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변화지만 건강한 생활 방식과 규칙적인 운동, 적절한 영양 섭취 등으로 이러한 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③ 약 70% 이상의 노인들이 만성질환을 경험하며,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골관절염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④ 쇠약해지는 체력에 적응하고, 알맞은 운동 및 섭생, 지병이나 쇠약함에 대해 적절히 대처해야 한다.

인지와 성격적 변화

 


① 지적 능력의 쇠퇴는 다양한 측면에서 일어나며, 단기기억이 장기기억보다 더욱 심하게 쇠퇴한다.
②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보 처리 속도가 감소하며, 감각기관을 통해 입수되는 정보를 운동 반응으로 전환하는 능력 등이 떨어진다.
③ 변화에 대한 두려움과 함께 자기 통제력에 대한 자신감이 감소한다.
④ 인지적 능력의 감소에 대처하기 위해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행동에 옮기도록 노력해야 한다.

노년 죽음에 대한 태도

제1단계 : 부정 단계로 자신이 곧 죽는다는 사실을 부인한다.
제2단계 : 분노 단계로 자신의 죽음에 대한 이유를 알지 못해 주위 사람들에게 질투와 분노를 표출한다.
제3단계 : 타협 단계로 죽음을 받아들이기 시작하며, 인생 과업을 마칠 때까지 생이 지속되기를 희망한다.
제4단계 : 우울단계로 이미 죽음을 실감하기 시작하며, 극심한 우울 상태에 빠진다.
제5단계 : 수용 단계로 절망적이며 거의 감정이 없는 상태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