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애성 성격장애는 극적이고 감정적이고 변덕스러운 B군 성격장애(반사회성, 경계성, 연극성, 자기애성)로 자기가 주요 인물이며 자신에 대한 과장된 평가로 인한 특권의식을 지니고 타인에게 착취적이거나 오만한 행동을 나타내어 사회적인 부적응을 초래하는 성격을 말합니다. 자기도취적이라고도 하는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살펴보겠습니다.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주요 증상과 특징
자기애적 성격장애는 자기가 주요 인물이며 특별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는 과장된 생각과 느낌을 드러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사려가 깊지 못하고, 다른 사람을 공감하지 못하며 명성, 부, 성공욕에 집착하면서 남을 잘 이용하는 행동 양상을 드러냅니다. 또한 타인의 평가에 극도로 예민하여, 부정적 평가를 받을 경우 분노나 부끄러움, 부인 등으로 반응하며 거만하고 자기중심적이고 의미 있는 인생을 살아가는 타인들을 시기하거나 경멸하기도 합니다.
① 자신의 중요성을 과장되게 지각하고, 우월한 사람으로 보이기를 기대하며 자신의 능력을 과장한다.
② 성공, 권력, 명석함, 아름다움, 완벽한 연인에 대한 환상에 집착한다.
③ 자기만큼 중요한 사람들 하고만 교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④ 남들에게서 특별대우와 무조건적인 순응을 기대하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타인을 이용한다.
⑤ 타인의 느낌이나 요구를 인식하지 못하고 인식하려고도 하지 않는다.
⑥ 남들이 자신을 부러워하고 시기한다고 믿는다.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진단기준
다음 중 5개 또는 그 이상의 항목을 충족시킵니다.
① 자신의 중요성에 대한 과장된 지각
② 성공, 권력, 아름다움에 대한 공상
③ 과도한 찬사를 요구한다.
④ 특권의식을 가진다.
⑤ 다른 사람을 착취하는 경향
⑥ 타인들을 질투한다.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원인
① 정신분석적 입장
- 자기애는 심리적 에너지가 자신에게 향해 자신의 신체를 성적인 대상으로 취급하는 태도이다
- 유아기의 과대한 자기상에 대한 좌절 경험이 너무 없거나 또는 너무 심하게 좌절 경험을 한 경우 건강한 자기애가 손상되어 병적인 자기애가 발생한다.
② 인지적 입장
"나는 매우 특별한 사람이다. 나는 너무나 우월하기 때문에 특별한 대우를 받고 특권을 누릴 자격이 있다."라는 신념체계가 어린 시절 부모나 형제, 중요한 타인들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받은 메시지에 의해 발전되었다.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치료
① 자기애적 손상에 대한 취약성이 있기 때문에 그들의 예민성, 실망에 대해 공감해주고 치료과정에서 생기는 좌절 및 실망에 대해 명료화시킨다
② 치료 초기부터 취약성을 직접 해석하고 직면하여 자신의 과대성과 이로 인한 부적응인 결과들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③ 자기 정서의 원인을 이해하고 정서를 조절하게 돕는다.
④ 치료과정에서 발생하는 우울증에 대해서는 약물 치료한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융 분석심리학( 원형 및 정신에너지 원리, 성격 평가방법 ) (1) | 2022.07.12 |
---|---|
돌봄받고 의지하려는 의존성 성격 장애 (1) | 2022.07.11 |
관심을 끌기 위해 지나치게 노력하는 연극성 성격장애 (1) | 2022.07.08 |
신경질적인 아동, 청소년의 문제 행동에 도움 되는 방법 (1) | 2022.07.06 |
열등감이 심한 아동, 청소년을 위한 도움 되는 방법들 (1) | 2022.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