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신경질적인 아동, 청소년의 문제 행동에 도움 되는 방법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신경질적인 아동, 청소년의 문제 행동에 도움 되는 방법

by &@#*$ 2022. 7. 6.

신경질은 불안과 긴장이 지속됨으로써 정서 표현과 행동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환경에 새롭게 적응해야 하거나 혼자 해결이 불가능한 일에 맞닥뜨리게 되면 긴장하는데서 비롯됩니다. 자신과 타인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신경질적인 성격은 청소년기에 신경증 증상으로 발전할 수 있어 유의해야 합니다.

아동, 청소년의 신경질 행동 원인

 

  • 신체적으로 피로하거나 생리적 장애로 질병이나 긴장상태에 있을 때 신경질적인 표현을 많이 하게 된다.
  • 성격이 급한 부모가 아동을 재촉하거나 신경질적인 행동을 할 때 아동도 신경질적인 반응으로 대응하게 되면서 성격도 변하게 된다.
  • 주위 환경이 복잡하거나 소음이 많아서 항상 긴장해야 하는 환경일 때도 신경질적인 성격으로 변할 수 있다.
  • 아이들의 행동에 지나치게 간섭하거나 부모의 뜻에 따라 자신이 원하지 않는 일을 할 때 신경질적인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
  • 일의 처리나 결정 능력이 부족하거나 환경의 적응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열등감과 함께 신경질적인 성격이 형성될 수 있다.
  • 아이들의 욕구나 필요가 충족되지 못할 때 신경질적인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신경질적인 반응
신경질적인 반응

 

신경질적인 아동, 청소년의 특징

  • 신체적, 심리적으로 긴장되어 있으며, 욕구불만과 불평이 많다.
  • 성격이 지나치게 예민하고 작은 일에도 쉽게 흥분한다.
  • 사고나 생활태도가 부정적이며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이 어렵다.
  • 정서적, 행동적으로 성숙하지 못하고 안정감이 없다.
  • 성격이 급하고 참을성이 없으며 화를 잘 내고 자주 울기도 한다.



신경질적인 아동, 청소년의 문제 행동에 도움 되는 방법


① 집안의 분위기를 최대한 밝게 하고 자유롭게 해 준다.

  • 아이가 신경질을 낼 때도 질책하지 말고 수용적인 태도와 관심을 표현한다.
  • 신체적으로 문제가 있어서 신경질을 내는 경우는 적당한 도움을 제공해서 과제와 맡은 일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한다.
  • 서서히 안정되면 보조를 줄이고 일상적인 환경을 조성해서 생활에 적응할 수 있게 한다.

② 주위 환경을 개선해서 안정시킨 후, 아이에게 신경질 부리지 말라고 조용히 타이른다.

  • 지시에 따르지 않으면 다시 한번 주의를 준 후 신경질 부리지 말 것을 지시한다.
  • 계속 듣지 않으면 아이에게 이유를 물어보고 조용히 앉아 있게 하거나 엄마와 함께 이야기를 하거나 책을 읽게 해서 마음을 안정시킨다.

③ 아이들의 신경질은 자신의 욕구 충족이 잘 안 되기 때문이므로 아이가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 아이가 신경질을 부리지 않거나 화를 내지 않으면 스티커를 주고 모인 수대로 자신이 원하거나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신의 마음을 조절해 나가도록 한다.

④ 신체적으로 허약하거나 정서적, 행동적으로 성숙한 표현의 방법을 모를 때 신경질을 낼 수 있다.

  • 체력을 길러주고 다양한 놀이를 경험하게 한다.
  • 집단활동을 통해 또래와 어울리면서 양보하고 참는 것을 배울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잘 적응하는 경우는 충분한 보상을 통해 행동을 강화한다.

⑤ 매일 어느 상태와 어떤 일에 대해 신경질을 내는지 관찰하도록 한 후 자신의 그러한 행동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느낌을 말하게 하거나 일기 형식으로 쓰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이가 자기의 문제와 잘못된 점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서 스스로 개선하도록 한다.


⑥ 아이 스스로에게나 부모에게 신경질을 부리지 않겠다고 약속하고 보상이나 처벌의 방법들을 결정해서 계약서를 작성한다. 약속 지키는 여부에 따라 정한 보상과 처벌을 반드시 이행해서 아이가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도록 유도한다.


⑦ 신경질이 부모나 환경 속에서 강화된 경우는 아이의 신경질 행동에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고 다른 행동에 대해서만 관심과 보상을 해 줌으로써 자신의 신경질이 주변의 관심을 더 이상 끌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더 이상 문제행동을 하지 않도록 한다.


⑧ 성격이 급하거나 긴장을 잘해서 신경질이 많은 아이는 이완운동을 통해 신체적으로 안정하고 심리적 긴장을 해소하도록 훈련한다. 아동의 흥미, 적성 능력에 맞는 과제를 통해 인내심을 길러서 천천히 생각하고 행동하도록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