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열등감이 심한 아동, 청소년을 위한 도움 되는 방법들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열등감이 심한 아동, 청소년을 위한 도움 되는 방법들

by &@#*$ 2022. 7. 5.


성장과정에서 아이들이 열등감을 느끼는 경우는 자신과 환경에 대한 경우가 많은데, 이때 부가적으로 부모나 외부로부터 자극이나 강화를 받게 되면 그 강도가 깊어집니다. 자존감이 낮아 열등감이나 불확실한 정체성을 가진 아이들은 신경증 수준 또한 높아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열등감에 도움 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아동과 청소년의 열등감 원인


① 생물학적인 요인에서 오는 경우는 주로 신체적으로 결함이 있거나 질병이 있을 때 열등감을 갖게 된다.

② 부모의 무지나 무관심, 조소적 태도, 모욕적인 언사나 행동으로 아이를 대하는 경우에 열등감을 쉽게 느끼게 된다.

 

열등감 유발 원인
열등감 유발 원인


③ 다른 아이와 비교해서 자기의 신체적 또는 지적 능력이 뒤떨어진다고 생각할 때 열등감을 느낄 수 있다.

④ 부모의 사회적 신분, 가정환경, 경제적 수준이 다른 아동보다 낮을 때 열등감을 느끼게 된다.

⑤ 성격적인 측면에서 겁이 많거나 의존적이고 자신감이 부족한 아동은 대체로 열등감을 많이 가지고 있다.

⑥ 우월성과 경쟁심이 지나치게 강한 아동은 보통 아동들보다 열등감이 더 심할 수도 있다.


열등감이 심한 아동과 청소년의 특징


① 학습능력에 문제가 있거나 다른 아동에 비해 지나치게 경쟁적인 경향이 있다.

② 열등감을 보상하기 위해 불필요한 노력이나 과시적 행동을 한다.

③ 장점보다는 자기의 단점을 크게 확대해서 쉽게 좌절하고 자신감이 없으며 위축되어 있다.

④ 자기보다 우월한 사람이나 자기를 억압하고 협박하는 사람들을 회피한다.

⑤ 부정적인 성격이 형성되면서 인지와 사회성 발달에 문제가 있다.

 

 

열등감이 심한 아동과 청소년에게 도움 되는 방법들

① 열등감이 있는 아이는 물질적인 보상보다는 자신감 회복이 우선이기 때문에 칭찬이나 격려, 용기를 주는 말 등 심리적 보상방법으로 강화한다. 말로 칭찬하는 것보다 머리를 쓰다듬어 주거나 등을 두드려 주고, 껴안아 주면서 잘했다고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② 열등감 때문에 의견을 표현하지 못하거나 발표를 잘하지 못하는 아이의 경우, 발표나 대답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고 적절한 행동을 했을 때는 적극적으로 보상한다. 아이의 대답이 틀렸거나 적당하지 않을 때도 긍정적 지지를 해 줌으로써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자신감을 잃지 않도록 한다.

③ 학습능력이 낮음으로 열등감이 있는 아이는 과제를 분석해서 쉬운 문제부터 하나씩 풀게 하면서 잘했을 때 충분하게 보상해서 아이로 하여금 성취감과 함께 열등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열등감 회복
열등감 회복


④ 아이에게 누구든 잘할 수 있는 것과 못하는 것이 있다는 것을 이해시킨 후 아이가 어려워하는 과제를 부모나 주변에서 직접 도와주면서 완성하여 자신감을 갖도록 한다. 몇 번 반복 후에 아이 자신 스스로 일을 혼자 수행할 수 있게 한다.

⑤ 그림이나 노래, 무용, 책 읽기 등 아이가 다른 아이보다 잘하는 것을 영상으로 녹화해서 보게 하면서 칭찬하고 격려한다. 아이가 자신의 모습을 보고 느낌을 말하도록 해서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게 하고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⑥ 유명인들의 책을 읽게 하거나 열등감을 극복하여 성공한 위인들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아이가 자신도 열등감을 극복하고 변화할 수 있다는 기대와 자신감을 심어준다.

⑦ 아이가 스스로 비하하는 말을 하거나 지나치게 경쟁적이어서 남을 비난하는 경우는 아무런 관심을 나타내지 않는다.

  • 자신의 장점을 말하거나 자기의 의견을 발표하고 다른 아이와 함께 적극적인 행동을 할 때는 즉시 관심을 표현하고 적절하게 보상함으로써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사고와 시각을 버리고 열등감이 소거되도록 한다.

⑧ 열등감 때문에 학급에서 다른 아이와 어울리지 못하고 앞에 나서지 못하는 아이에게 일일 반장이나 학급대표를 시켜서 다른 아이들을 통솔하게 하거나 앞에 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가정의 사회경제적인 위치 때문에 열등감을 느끼는 아이는 가족들로 하여금 충분한 사랑과 관심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 자신보다 더 불쌍하고 어려운 친구들을 만나게 하고 그들을 돕게 함으로써 열등감이 감소되도록 한다.

⑨ 일정기간 동안 그래프를 만들어 놓고 다른 사람 앞에서 자신 있게 행동하고 일을 잘 수행했을 때에는 아이 스스로 표를 붙이게 하거나 스티커를 주어 자신의 행동변화를 알 수 있도록 한다.

  • 모아진 스티커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나 물건을 얻을 수 있도록 해서 아이의 목표 행동을 적극적으로 강화하는 동시에 열등감을 제거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