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인지 진로 이론은 1981년에 처음 소개되었고, 1994년에 완전한 모습이 알려졌으며, 이 이론은 진로상담 실제에서 활용도가 높아서 이 분야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반두라의 사회인지 이론을 직업심리학에 적용하여 직업흥미가 어떻게 발달하는지, 진로선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수행 수준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등을 설명하려는 이론들입니다.
Lent 등의 흥미 모형
① 흥미는 결과 기대와 자기 효능감에 의해 예측된다는 입장이다. 결과 기대 및 자기 효능감과 함께 흥미는 목표를 예언하고, 목표는 활동의 선택 및 실행을 가져오고, 나아가 수행 결과로 이어진다.
② 예 : 자신이 드럼을 잘 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자기 효능감에 기초하여 드럼에 대한 흥미가 발달할 수 있다. 또한 친구들과 만나거나, 음악을 즐기거나, 가족들로부터 칭찬을 받는 등 드럼을 치면서 얻게 되는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것이다. 이 사람이 드럼을 계속 칠 것이라는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결국 드럼을 치는 능력이 더 향상될 것이다.
③ Lent 등은 강한 흥미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영역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하는 변인으로 사회적 배경과 환경 변인을 제안하고 있다. 사회적 배경과 환경은 어떤 직업세계에 대한 진입의 장애가 되거나 결과 기대를 낮출 수 있다.
선택 모형
① 선택 모형에서는 개인의 성, 인종, 장애, 성격, 성향 등 개인차와 그를 둘러싼 환경은 학습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이 학습경험이 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는 흥미에 영향을 미치고, 흥미는 목표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② Lent 등은 진로선택을 하는 과정에는 목표 선택(예-과학자가 되는 것), 목표 성취를 위한 활동(예- 생물 전공 학점을 채우는 것), 행동의 결과(생물학 학위를 받는 것) 등이 모두 포함된다고 보았다.
수행 모형
① 수행 모형에서는 개인이 그 목표를 추구함에 있어 어느 정도 지속할 것이고 어느 정도 수준의 수행을 해 낼 것인지 예측한다.
② 이전 수행 성취도가 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수행 목표에 영향을 미치고, 최종적으로 수행 수준을 이끈다. 즉, 과거의 수행이 미래 행동의 결과에 대한 기대와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대가 스스로 결정하는 목표에 영향을 미치고, 이 목표가 수행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③ 선택 모형과 흥미 모형에서는 개인이 일하고 싶어 하는 영역이나 구체적인 직업과 같은 진로선택의 내용을 포함하지만, 수행 모형에서는 개인이 이미 선택한 영역에서 추구하는 수행의 수준을 예측한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의 기본 원리 (0) | 2022.10.01 |
---|---|
직업포부 발달이론(Gottfredson) (0) | 2022.09.27 |
상담기법 경청, 해석, 자기노출 (1) | 2022.09.24 |
타이드만과 오하라의 진로발달 이론 (0) | 2022.09.23 |
상담기법 직면, 질문, 침묵 다루기 (1) | 2022.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