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직업적성검사(The General Aptitude Test Battery)는 1947년 미국 연방정부 직업 안정국이 일반적성 검사 배터리를 표준화한 것입니다. 포괄적인 적성을 측정하는 종합적성검사로서, 11개의 지필검사와 4개의 수행검사(동작검사)를 포함한 총 15개의 하위검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GATB의 구성과 적성의 분류, 채점 및 적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GATB의 구성
① 지필검사
- 기구대조검사 : 보기에 제시된 그림의 전개도를 본 후 동일한 형태의 도형을 찾아낸다
- 형태대조검사 : 서로 대조되는 도형집단에서 크기와 모양이 동일한 도형을 찾아낸다.
- 명칭비교검사 : 좌우 양쪽의 문자 또는 숫자로 표시된 명칭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지를 판별한다.
- 타점속도검사 : 연속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사각형 안에 최대한 빨리 3개씩 점을 찍는다.
- 표식검사 : 사각형 안에 최대한 빨리 정해진 기호(표식)를 기입한다.
- 종선기입검사 : H의 양측 선에 닿지 않도록 H 가운데의 횡선을 가로질러 최대한 많이 선을 긋는다.
- 평면도판단검사 : 보기에 제시된 평면도를 본 후 해당평면도형에 해당하는 입체도형을 찾아낸다.
- 입체공간검사 : 보기에 제시된 평면도를 본 후 해당평면도형에 해당하는 입체도형을 찾아낸다.
- 어휘검사 : 제시된 4개의 단어 중 동의어 또는 반대어에 해당하는 단어 2개를 찾아낸다.
- 산수추리검사 : 문장으로 제시된 산수응용문제를 푼다.
- 계수검사 :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사칙연산을 통해 기본연산능력을 측정한다.
② 수행검사(동작검사)
- 환치검사 : 상판과 하판에 48개 구멍이 뚫려있는 팩보드(Peg Board)에서 상판 막대기의 팩을 양손을 이용하여 동시에 뽑은 다음 이를 하판의 대응되는 위치에 꽂아 넣는다.
- 회전검사 : 환치검사를 통해 하판에 꽂아 넣은 팩을 한 손으로 한 개씩 빼낸 후 이를 뒤집어 다시 꽂아 넣는다.
- 조립검사 : 상판과 하판에 50개 구멍과 원주가 있고 일정한 간격으로 못과 좌목 철이 놓여 있는 손가락 재치보드에서, 상판에 꽂혀 있는 못과 원주에 꽂혀 있는 좌철을 양손을 이용하여 빼내어 조립한 다음, 못을 빼낸 손으로 하판의 대응되는 위치에 꽂아 넣는다.
- 분해검사 : 조립검사를 통해 하판에 꽂아 넣은 못과 좌철의 조립물을 다시 분해하여 못과 좌철이 있던 본래의 위치에 양손을 이용하여 동시에 꽂아 넣는다.
GATB에 의해 검출되는 적성의 분류
① 지능( General Intelligence, G ) 또는 일반학습능력(General Learning Ability, G) : 일반적인 학습능력, 설명이나 지도내용과 원리를 이해하는 능력, 추리와 판단하는 능력, 새로운 환경에 신속하게 순응하는 능력 등
② 언어능력(Verbal Aptitude, V) : 언어의 뜻과 함께 그와 관련된 개념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 언어 상호 간의 관계와 문장의 뜻을 이해하는 능력, 보고 들은 것이나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는 능력 등
③ 수리능력 또는 수리적성(Numerical Aptitude, N) :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산하는 능력 등
④ 사무지각(Clerical Perception, Q) : 문자나 인쇄물, 전표 등의 세부를 식별하는 능력, 잘못된 문자나 숫자를 찾아 교정하고 대조하는 능력, 직관적인 인지능력의 정확도나 비교하고 판별하는 능력 등
⑤ 공간적성(Spatial Aptitude, S) : 공간상의 형태를 이해하고 평면과 물체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 기하학적 문제해결능력, 2차원이나 3차원의 형체를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능력 등
⑥ 형태지각(Form Perception, P) : 실물이나 도해 또는 표에 나타나는 것을 세부까지 바르게 지각하는 능력, 시각으로 비교와 판별하는 능력, 도형의 형태나 음영, 근소한 선의 길이나 넓이 차이를 지각하는 능력, 시각의 예민도 등
⑦ 운동반응 또는 운동협응(Motor Coordination, K) : 눈과 손 또는 눈과 손가락을 함께 사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운동할 수 있는 능력, 눈으로 겨누면서 정확하게 손이나 손가락의 운동을 조절하는 능력 등
⑧ 손가락 재치 또는 손가락 정교성(Finger Dexterity, F) : 손가락을 정교하고 신속하게 움직이는 능력, 작은 물건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다루는 능력 등
⑨ 손의 재치 또는 손가락 정교성(Manual Dexterity, M) : 손을 마음대로 정교하게 조절하는 능력, 물건을 집고 놓고 뒤집을 때 손과 손목울 정교하고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능력 등
채점 및 적용
① 채점 및 원점수 산출 시 지필검사는 맞은 문항수를, 수행검사는 완성한 개수를 센다. 단, 종선기입검사, 타점속도검사, 표식검사는 진행한 수를 세는데 이때 해당 수치가 원점수가 된다.
② 환산점수 산출 검사 요강에 수록된 환산표를 참조하여 원점수를 그에 부합하는 환산점수로 변환한다.
③ 적성별 점수 산출 환산점수를 이용하여 9개의 적성분야별 점수를 산출한다.
④ 적정 직무군 선정 GATB는 2~3개의 적성분야를 조합하여 모두 15개의 직무군을 제공하고 있으며, 각 직무군에서 필요로 하는 적성분야의 점수에 따라 다시 2~3개의 하위직무군으로 분류해놓고 있다.
⑤ 이 분류는 직무군별로, 직무군 내 하위직무군별로 적성분야의 기준점수를 제시하고 있으며, 수검자의 적성분야별 점수를 이 기준과 비교하여 수검자의 적정한 직무군을 판별한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심리평가에서 다루어야 하는 주요 평가영역 (0) | 2023.04.05 |
---|---|
놀이치료에 사용되는 보편적인 접근법과 놀이의 치료적 가치 (0) | 2023.04.03 |
사례로 보는 상담기법 반영/ 반영 기법을 활용하는 방법 (0) | 2023.03.30 |
페스팅거의 인지부조화이론과 인지부조화가 미치는 영향 (0) | 2023.03.29 |
사례로 보는 상담기법 명료화 (0) | 2023.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