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 진로상담은 행동변화를 이끄는 기법들을 검증하기 위해 행동주의의 실용적 접근을 선호합니다. 학습이론의 원리를 직업선택의 문제에 적용하며, 인간은 유전적, 사회적으로 부여된 특성을 가지고 환경에 접하게 되는데 이러한 특성과 환경이 상호작용하여 자신에 대한 견해를 형성하며, 이러한 자신에 대한 견해는 일과 관련된 개인의 행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봅니다.
진단
① 굿스타인(Goodstein) : 진로선택 문제의 원인을 불안으로 본다.
선택의 결단력 부족으로 인한 결과 불안, 선택을 하기 전 선행하는 선행 불안을 야기한다.
결과불안 (우유부단) |
경험의 제한 → 적절하고 적응적인 반응을 배울 수 있는 충분한 기회의 부족 |
부적절하거나 → 부적응적인 행동 직업선택을 못하거나 비현실적인 직업 선택을 함 |
실패 → 선택문제를 해결하지 못함 |
불안(결과) 선택을 못하는 무능력과 선택을 하라는 사회적 압력 간의 갈등 |
선행불안 (무결단성) |
경험의 무제한 → 적절하고 적응적인 반응을 배울 수 있는 충분한 기회가 있었음 |
불안(선행) → 선택이 불안유발 - 선탵ㄱ은 부모에게 도전하는 것이요, 독립해 나가는 것을 의미하는 등 불안을 일으키는 단서가 됨 |
학습기회 → 사용하지 않음 적절한 정보를 선택할 기회가 제공되어도 불안이 그 기회를 활용하지 못하게 막거나, 비록 정보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있을지라도 불안이 정보의 획득을 방해함 |
부적절하고 부적응적인 행동 직업을 선택하지 않거나 비현실적인 직업을 선택함 |
결과 불안에서의 불안은 선택의 결단력 부족으로 인한 불안이다. 그러나 선행 불안에서의 불안은 선택을 하기 전, 즉 선택에 선행하는 불안이다. Goodstein의 관점에서 본다면, 진단이란 불안이 선택되기 전에 나타난 것인지 선택한 후에 나타난 것인지를 분명히 밝히는 것이다.
② 크롬볼츠(Krumboltz)와 토레센(Thoresen) : 진로선택 문제의 원인을 결단력 부족으로 보았다. 내담자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으로 감정표출을 하고 자신의 행동이 부적절하다는 점을 알지 못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선택의 갈등, 알지 못하는 어떤 것에 관심이 주어지는 것도 결단력 부족이 원인이라 본다.
진로상담의 목적과 과정
1) 진로상담의 목적
① Goodstein : 선행 및 결과 불안을 제거하거나 줄이고 의사결정 기술을 획득하는 것
② Krumboltz : 부적응 행동의 변화, 의사결정 과정의 학습, 문제행동의 예방
2) 상담과정
① Goodstein : 진로상담에서 불안을 중요하게 다루지만 불안 제거보다는 부적응 행동을 치료하거나 적응행동을 학습하게 하는 조건 형성에 상담의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 선행 불안으로 진단되었을 경우 : 역 조건 형성을 통해 진로의사결정과 관련된 불안을 제거한다. 내담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아보거나 진로선택에서 요구되는 반응을 획득할 수 있는 도구적 학습을 경험하게 된다.
- 결과 불안으로 진단되었을 경우 : 도구적 학습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② Krumboltz와 Baker가 제시한 상담과정
- 문제와 상담의 목적 정의
- 상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담자와 내담자의 의견 일치
- 문제 해결의 대안 도출
- 각 대안에 대한 자료 수집
- 각 대안에 대한 결과 탐색
- 상담 목적, 대안, 예상되는 결과를 탐색하고 재평가
- 알맞은 대안을 결정하거나 잠정적으로 선택
- 새로운 문제에 대해 의사결정 과정을 적용
상담기법과 검사 활용
1) 상담기법
불안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해 체계적 둔감법과 역 조건 형성을 사용했고, 도구적 학습과 관련해서는 내담자의 바람직한 반응에 대한 강화, 모방, 대리 학습, 변별 학습을 사용한다.
2) 검사 활용
행동주의 진로상담에서는 검사의 비중이 크지 않다. 적성검사보다는 흥미검사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갖는다.
평가
① 시사점 : 내담자들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새로운 행동의 학습을 촉진시켰다.
② 한계점 : 정보 획득의 부족으로 인한 내담자를 치료하는 데는 효과적이나 결단력이 문제인 내담자들은 상담이 끝난 후에도 자신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직업이 무엇인지를 모를 수 있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기법 직면, 질문, 침묵 다루기 (1) | 2022.09.22 |
---|---|
상담기법 반영, 재진술, 수용, 명료화 (0) | 2022.09.21 |
정신분석학적 진로상담 (0) | 2022.09.19 |
교류분석 상담이론(의사거래 유형, 교류분석 상담 기법) (0) | 2022.09.17 |
교류분석 상담이론 (에고그램 유형, 세 가지 자아상태) (1) | 2022.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