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이야기치료(외현화, 목표, 기법)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이야기치료(외현화, 목표, 기법)

by &@#*$ 2022. 8. 21.

이야기치료는 우리 삶이 기본 줄거리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사건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어떤 주제가 있는 이야기와 같다고 봅니다. 이야기의 세부적인 내용은 이야기할 때마다 조금씩 달라지지만 나는 누구인가, 내 인생은 어떤 인생인가라는 이야기의 주제는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구조주의와 구성주의의 영향을 받아 탄생한 이야기치료는 개인의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해석과정 자체에 초점을 두는 접근법으로서,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삶에 대해 이야기를 구성하기도 하며 새롭게 창조하도록 돕습니다.

주요 인물과 주요 개념


1) 주요 인물
화이트(M. White)와 앱스턴(D.Epston)
이야기는 항상 재창조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므로, 치료과정을 통해서 부정적이고 패배적인 견해를 반박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찾아 이야기를 새롭게 쓸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주장한다.

2) 주요 개념
① 개인의 어떤 경험은 다른 위치에 있는 또 다른 자신의 경험과 관계가 있으며, 그것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느냐에 자신의 이야기가 결정된다.
② 자신의 경험 속에서 어떤 것을 버리고 어떤 것을 선택하는가도 이야기가 결정한다.
③ 이야기는 삶의 방식이나 인간관계에 영향을 주는 방향을 결정한다.
④ 개인이 이야기하는 행위를 통해 삶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조직하고 해석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내담자 삶의 문제는 전문 지식에 따라 이해하고 개입하기보다는 당사자의 이야기를 통해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발견된 당사자의 지식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개인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해석과정에 초점을 두는 이야기치료
개인의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해석과정에 초점을 두는 이야기치료

 

치료 목표와 치료과정

1) 치료 목표
① 단기적으로는 내담 가족이 호소하는 문제를 감소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② 궁극적 목표는 내담 가족 스스로가 자신들이 선호하는 방향으로 자기 가족의 이야기를 써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③ 문제 해결 자체보다는 과거를 재조명하고 미래를 다시 쓰는 것을 통해 그들의 삶을 다시 쓰도록 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정체감을 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변하도록 돕고, 내담자들이 능력을 가진 사람으로 삶의 이야기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2) 치료과정
이야기 치료자들은 내담자의 이야기에 강한 관심을 가지고 협력적이며 공감적인 태도를 갖는 가운데, 내담자의 삶의 역사 속에서 강점이나 유능했던 것을 찾고, 새로운 이야기를 꺼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내담자 속에 내면화된 파괴적인 이야기로부터 내담자가 분리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① 문제를 외재화하기
② 문제 이야기와 상반되는 독특한 결과를 찾아내기
③ 전체 이야기를 다시 쓰기
④ 새로운 이야기를 강화하기
⑤ 재진술을 통한 이야기를 풍부화하기

치료기법

1) 문제의 경청과 해체
① 가족의 문제 이야기를 경청하기
사람과 문제를 분리하기(외재화) : 사람이 문제가 아니라 문제가 문제다.
내담자의 문제가 정신병리나 성격에 기인하는 것이라는 생각과 개인이 문제를 자신의 내면으로 끌어들이려는 행위를 경계하고, 그 대신 문제를 상황이나 대인관계의 산물로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문제의 내재화 문제의 외재화
저는 우울증이 있습니다
지호는 공격적 성향을 가지고 있네요
우울한 마음 때문에 생활이 엉망이 되었네요
'때려도 된다'는 생각이 지호를 누르고 있었네요

문제의 영향력 탐색하기 : 문제가 내담자의 삶(부부관계, 부모 자녀관계, 직장동료관계, 학교생활, 친구관계, 미래, 가치 등)에 이제까지 어떤 영향을 끼쳐 왔으며, 현재는 어떠한지를 질문한다. 또한 문제를 더 키우게 되는 생각, 관습, 신념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질문한다.
④ 문제의 영향력 평가하기
⑤ 평가를 정당화하기

2) 독특한 결과의 해체
① 독특한 결과 외재화하기 : 독특한 결과는 일회성 사건이 아니라, 그 사람의 삶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관련된 사건의 결과다.
② 독특한 결과의 영향력 탐색하기
③ 독특한 결과의 영향력 평가하기
④ 평가를 정당화하기

3) 대안적 이야기의 구축
치료자는 독특한 결과와 관련이 있는 과거 사건을 찾아내고, 그 사건들이 순서에 따라 시간의 흐름 속에서 특정한 주제와 구성을 갖는 이야기로 발전하도록 돕는다.
① 행동 영역의 질문
② 정체성 영역의 질문

4) 대안적 정체성의 구축(1)
① 의미 있는 대상의 기여 탐색하기 : 의미 있는 대상이 내담자 삶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설명한다. 내담자에게 정체성 의식('나는 누구인가'와 '인생이란 무엇인가')이 형성 되는 데 있어 이 관계가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에 관해 풍부하게 설명한다.
② 내담자의 기여 탐색하기 : 내담자가 의미 있는 대상의 삶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설명한다. 내담자가 그 대상의 입장이 되어 의미 있는 대상에게 정체성 의식이 형성되는 데 있어 이 관계가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에 관해 풍부하게 설명한다.

5) 대안적 정체성 구축(2)
① 말하기
② 다시 말하기
③ 다시 말하기의 다시 말하기
④ 다시 말하기의 다시 말하기의 다시 말하기

6) 치료적 문서의 활용
치료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문서, 글쓰기를 치료에 활용한다. 치료자는 직접 문서를 만들어 내는 동시에 내담자 스스로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치료자는 내담자의 문제 이야기나 해결 지식 등 회기 중에 메모했던 것을 회기와 회기 사이에 내담자에게 보낸 '치료적 편지'로 사용하기도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