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박 장애(Gambling Disorder)는 도박에 대한 강한 욕구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일으키는 상황으로 일종의 중독 현상입니다. 도박 장애는 도박에 대한 강한 욕구와 집착, 도박으로 인한 재무적 문제, 가족, 사회, 직장 등과의 관계 문제, 감정적 문제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도박 장애의 증상과 원인, 치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도박 장애의 주요 증상과 특징
다음 중 4개 이상의 항목에 해당하는 도박 행동이 12개월 동안 반복적으로 일어나 사회적, 직업적으로 부적응을 초래할 때 진단된다.
① 원하는 흥분을 얻기 위해서 점점 더 많은 액수의 돈을 가지고 도박을 하려는 욕구를 지닌다.
② 도박을 줄이거나 중단하려고 시도할 때는 안절부절못하거나 신경이 과민해진다.
③ 도박을 통제하거나 줄이거나 중단하려는 노력이 거듭 실패로 되돌아간다.
④ 도박에 집착한다.
⑤ 정신적인 고통을 느낄 때마다 도박을 하게 된다.
⑥ 도박으로 돈을 잃고 나서 이를 만회하기 위해 다음 날 다시 도박판으로 되돌아간다.
⑦ 도박에 빠져 있는 정도를 숨기기 위해서 거짓말을 한다.
⑧ 도박으로 인해서 중요한 대인관계, 직업, 교육이나 진로의 기회를 위태롭게 하거나 상실한다.
⑨ 도박으로 인한 절망적인 경제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돈을 빌린다.
도박 장애의 원인
① 정신 역동적 입장
오이디푸스 갈등과 관련된 무의식적 동기로 도박장애를 설명한다. 공격적이거나 성적인 에너지를 방출하려는 욕구가 무의식적으로 대치되어 도박행동으로 나타난다고 본다.
② 학습 이론
모방학습과 조작적 조건형성으로 도박장애를 설명한다. 부모, 형제, 친구와 놀이로 도박을 하다가 병적인 도박증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돈을 따거나 따는 과정에서 느끼는 강한 흥분이 도박행동을 지속하게 하는 강화물로 작용한다.
③ 인지적 입장
병적 도박자들은 인지적 왜곡을 지니게 되고, 자신이 돈을 따게 될 주관적 확률을 객관적 확률보다 현저히 높게 평가하는 비현실적인 낙관주의에 빠져 있는 경우가 많다.
④ 그 외의 주장
도박장애를 중독 상태로 본다. 도박장애는 우울증이 변형된 상태로 우울하고 불쾌한 내면적 상태를 변화시키려는 시도로서 도박을 시도한다고 주장한다.
도박 장애의 치료
① 행동치료적 기법
도박에 대한 매력 자극을 제거하고 혐오자극을 제시하여 도박행동을 감소시킨다.
② 약물치료
집단치료와 병적 도박자들의 자조집단, 단도박 모임 등이 해당한다.
③ 도박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도박장애에 걸렸다는 것을 인식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도박을 피하고, 대안적인 방식으로 삶의 만족감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스포츠, 문화, 여가활동 등의 새로운 취미를 찾아보는 것이 도움 될 수 있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장 장애의 증상 및 특징, 진단 기준, 원인과 치료 (1) | 2023.05.07 |
---|---|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 원인, 치료 (0) | 2023.05.04 |
특정 공포증(종류, 유발 요인, 치료) (0) | 2023.05.02 |
일반적으로 가족치료를 권하게 되는 경우 (0) | 2023.05.01 |
내담자에 관한 정보수집 및 행동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위한 상담기법 (0) | 2023.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