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Roe)의 욕구 이론은 개인의 욕구가 직업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며, 아동기에 형성된 욕구에 대한 반응으로 직업 선택이 이루어진다고 보았습니다. 성격이론과 직업분류 영역을 통합하여서 여러 가지 다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각기 다른 욕구를 갖고 있고, 이러한 욕구의 차이는 어린 시절의 부모-자녀관계에 기인한다고 보았습니다. 즉, 어렸을 때 어떠한 부모-자녀의 분위기 속에서 자랐느냐에 따라 각기 다른 태도, 흥미, 능력, 욕구 충족, 양식 등을 형성하게 되며, 그것이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입장입니다.
이론의 특징
①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론을 바탕으로 보아 직업과 기본 욕구 만족과의 관련성을 말한다(직업만큼 모든 수준의 기본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단일 상황은 흔치 않음).
② 미네소타 직업평가 척도에서 힌트를 얻어 개인의 흥미에 기초해서 직업을 8개 군집으로 나누고 각각의 군집에 알맞은 직업들의 목록을 작성한다. 그 후 직업에서의 곤란도와 책무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6단계를 완성하여 결국 8 × 6의 구조를 만든다.
③ Roe는 부모의 육아방식과 자녀의 직업 지향성 간의 관계를 제시한다.
가정의 정서적 분위기 즉,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을 회피형, 정서 집중형, 수용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구 분 | 내 용 |
회피형 | * 거부형 : 자녀에 대해 냉담하여 자녀가 선호하는 것이나 의견을 무시. 부족한 면을 지적하며 자녀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려고 하지 않는다. * 방임형 : 자녀와 접촉량이 많지 않고 부모의 책임을 회피한다. |
정서집중형 | * 과보호형 : 자녀를 지나치게 보호함으로써 자녀에게 의존심을 키워준다. * 요구과잉형 : 자녀가 남보다 뛰어나기를 바라고 공부를 잘하기 바라므로 엄격하게 훈련시키고 무리한 욕구를 한다. |
수용형 | * 무관심형 : 자자녀를 수용하며, 자녀들의 욕구나 욕구에 대해서 비교적 민감하지만, 부모-자녀관계가 별로 친밀하지는 않다. * 애정형 : 온정적이고 관심을 기울이며 자녀의 요구에 응하고 독립심을 길러 주며 벌을 주기보다는 이성과 애정으로 대한다. |
가정 분위기 유형에 따른 직업 지향성
① 과보호형 가정환경 : 인간지향적인 성격을 갖고 예능계통의 직업을 희망
② 온정적이고 수용적 환경 : 인간지향적 성격을 갖게 되지만 과보호형과는 달리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접촉하는 서비스 직종의 직업을 희망
③ 거부적인 분위기 : 공격적이고 방어적인 성격을 갖게 되며 그 결과 다른 사람과의 접촉이 적은 직업이나 과학계통, 연구 계통의 직업을 희망
평가
① 공헌점
- 개인의 성격과 직업분류를 통합하는 업적을 남겼고, 독특한 방식으로 직업을 분류하는 모델을 제세한다.
- 부모-자녀 관계 질문지를 개발하여 애정-거부(LR), 무관심-요구(CD), 지나친 주의(OA)의 세 가지 요인을 밝히고, LR요인과 OA요인만이 개인의 관심에 영향을 준다고 추정한다.
② 한계점
- 실증적인 근거가 결여되어 있다.
- 부모-자녀 관계가 로(Roe)의 이론처럼 획일적이거나 단순하지 않으며, 부모-자녀 관계는 자녀의 발달과정 동안 동일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자녀에 대한 부와 모의 태도가 각기 다를 수 있다.
- 진로상담을 위한 구체적인 절차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슨스의 특성요인 이론(직업 정보의 세가지 기능, 검사 해석하는 방법) (0) | 2022.09.08 |
---|---|
프롬의 성격유형(6가지 심리적 기본 욕구, 생산적 비생산적 성격유형) (1) | 2022.09.07 |
교류분석적 집단상담(게임 분석, 의사거래 분석, 구조 분석) (0) | 2022.09.05 |
개인상담과 가족상담의 차이 (0) | 2022.09.04 |
해결중심 단기상담 이론(기적 질문, 척도 질문, 대처 질문) (0) | 2022.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