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에 있어 내담자와 함께 문제를 다루고 해결하여 보다 나은 방향을 제시하고 내담자는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여 삶에 대한 방향을 찾아 나갈 수 있도록 적절한 상담기법을 사용하여 내담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내담자의 행동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한다면 더 효과적인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기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가정 사용하기
'가정 사용하기'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언어와 행동에서 암묵적으로 내포된 가정이나 신념을 발견하고, 그것을 상황에 맞게 논리적으로 분석하여 대화의 방향을 이끌어 나가는 기법으로 대화를 통해 내담자의 내면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내담자의 언어와 행동에서 내포된 가정을 발견하여 발견된 가정이 타당한지의 여부를 분석하고 가정이나 신념에 대해 대안을 제시하여 내담자의 시각을 넓혀 새로운 선택지를 제시한다. 가정 사용하기는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어떠한 특정 행동이 이미 존재했다고 가정하여 질문함으로써 내담자의 방어를 최소화한다.
의미 있는 질문 및 지시 사용하기
'의미 있는 질문 및 지시 사용하기'는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질문과 지시를 통해 대화의 방향을 이끌어 내는 기법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더 잘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효과적이다. 비판적인 질문을 피하고, 대화의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개방적인 질문을 사용하면 내담자가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상담자는 공손한 명령이나 내담자의 주의를 요하는 질문 등을 통해 내담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대답할 수 있도록 한다.
전이된 오류 정정하기
'전이된 오류 정정하기'는 내담자가 과거의 경험을 현재의 문제 상황에 적용하려는 현상을 말하며, 이를 정정하여 실제 상황에 맞게 인식하도록 하는 기법으로 상담자는 내담자의 제한된 사고나 어투, 왜곡된 인과관계 설정 등으로 나타나는 정보의 오류, 한계의 오류, 논리적 오류 등 전이된 오류를 정정한다. 전이된 오류를 정정하기 위해서는 전이된 오류를 먼저 파악하여 상황을 분석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실제 상황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인식이 개선되면 상담자는 새로운 대처 방법을 제시한다.
분류 및 재구성하기
'분류 및 재구성하기'는 내담자의 이야기를 이해하고,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다시 생각하고, 정리하며,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기법으로 상담자는 내담자의 표현을 분류하고 재구성함으로써, 내담자에게 자신의 세계를 다른 각도에서 볼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과정으로 내담자의 말을 큰 틀에서 분류하여 내담자가 말하는 것을 주의 깊게 듣고, 말속에 들어있는 주요 문제와 감정을 파악한다. 그런 다음 상황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내용 요약, 감정 요약, 문제를 요약하여 해결책을 찾기 위한 방향을 설정한다.
저항감 재인식하기 및 다루기
상담과정에서 내담자가 저항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는데 상담과정에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대한 불안이나 두려움, 혹은 상담자와의 관계에 대한 불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담자는 저항감을 재인식하고 변형된 오류를 수정하거나 은유를 사용하는 등 내담자의 저항감을 다룬다.
근거 없는 믿음 확인하기
상담 상황에서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근거 없는 믿음은 상담의 효과를 저해할 수 있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근거 없는 믿음을 확인하고 잘못된 믿음을 가진 내담자에게 그들의 믿음과 노력이 근거 없는 것임을 깨닫도록 하며, 새로운 대안을 찾도록 요구한다.
왜곡된 사고 확인하기
상담에서 내담자의 왜곡된 사고는 문제 해결에 대한 장애 요인이 되므로 상담자는 여과하기, 정당화하기, 극단적인 생각, 과도한 일반화, 인격화 등으로 나타나는 내담자의 왜곡된 사고에 주의를 기울인다.
반성의 장 마련하기
상담자는 내담자의 독단적인 사고를 밝히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지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 일반화된 지식과의 비교 및 대조 등의 과정을 통해 전반적인 반성적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변명에 초점 맞추기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변명은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자 하는 방식일 수 있으므로 상담자는 책임에 대한 회피나 변형, 결과에 대한 재구성 등으로 나타나는 내담자의 변명에 주의를 기울여 이를 직면하고 이해하도록 한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정 공포증(종류, 유발 요인, 치료) (0) | 2023.05.02 |
---|---|
일반적으로 가족치료를 권하게 되는 경우 (0) | 2023.05.01 |
MMPI의 일반적인 해석과정 (0) | 2023.04.29 |
MMPI 타당도 척도에 대한 해석 (2) | 2023.04.28 |
TCI 기질 및 성격 검사 (0) | 2023.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