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초기면담에서 내담자의 귀인과 대처 유형을 파악하는 것은 상담자에게 많은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정보를 활용하여 상담자는 적절한 접근 방식과 기술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초기 면담에서 내담자의 귀인 및 대처 유형과 주요 기술을 살펴보겠습니다.
자조적 유형 - 내부 귀인/자기 대처
① 내담자는 자신의 문제와 그것의 해결에 대해 책임감을 가지고 있다.
② 자신의 역할에 대한 책임감을 가진 상담자에게서 자극을 받고 싶어 한다.
보상적 유형 - 외부 귀인/자기 대처
① 내담자는 문제에 대한 책임은 없으나 그 해결은 자신이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② 비록 자신이 일으킨 문제는 아니지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상담자가 대변인이 되어 도와주기를 바란다.
의존적 유형 - 내부 귀인/타인 대처
① 내담자는 문제에 대한 책임을 느끼고 있으나, 그것의 해결에 대한 책임감은 가지고 있지 않다.
② 상담자를 구원자로 인식하므로 상담자가 지속적으로 자신을 돌봐 주기를 바란다.
의학적 유형 - 외부 귀인/ 타인대처
① 내담자는 자신의 문제나 그것의 해결에 대해 책임감을 가지고 있지 않다.
② 상담자를 치료 전문가로 인식하므로, 상담자가 자신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처방해 주기를 바란다.
상담장면의 초기면담에서 주요 기술
① 관계형성(Rapport) : 상담관계에서 유지되는 윤리적 문제와 비밀유지의 원칙을 설명함으로써 불안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내담자의 긴장감을 풀어주기 위해 친밀감을 형성하려는 노력이다.
② 감정이입 : 지각과 의사소통으로써 상담자로 하여금 길을 잃지 않으면서 내담자 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이다.
③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 : 언어적 행동은 내담자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논의하거나 이해시키려는 열망을 보여주는 것이며 비언어적 행동은 상담자가 관심을 가지고 열린 상태가 되어 내담자를 끌어들이는 효과적인 행동이다.
④ 상담자 노출하기 : 자신의 사적인 정보를 드러내 보임으로써 자기 자신을 다른 사람이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⑤ 즉시성 : 상담자가 자신의 바람은 물론 내담자의 느낌, 인상, 기대 등에 대해 이를 깨닫고 대화를 나누는 것으로서, '관계 즉시성'과 '지금-여기에서의 즉시성'이 있다.
⑥ 유머 : 상담 과정에서의 긴장감을 없애고 내담자의 저항이나 심리적 고통을 경감하며, 내담자에게 상황을 분명하게 지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구이다.
⑦ 직면 : 내담자에게 현재의 상황과 문제행동의 결과를 분명히 알 수 있도록 하며, 효율적인 생활과 타인과의 바람직한 관계형성을 위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각성하도록 한다.
⑧ 계약 : 목표 달성에 포함된 과정과 최종결과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서, 특히 내담자의 행동, 사고 등의 변화를 촉진하는 계약을 강조한다.
⑨ 리허설 : 일단 계약이 설정되면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선정된 행동을 연습하거나 실천하도록 함으로써 계약을 실행하는 기회를 최대화하도록 돕는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 대상의 면접 과정에서 상담자가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 (0) | 2023.06.10 |
---|---|
집단 지도성 이론 (0) | 2023.06.09 |
현실주의 상담의 8단계 원리(Glasser) (0) | 2023.06.07 |
실존주의 상담에서 내담자의 자기인식능력 증진을 위한 상담자의 치료원리 (0) | 2023.06.04 |
행동 및 인지행동 치료의 기법 종류 (0) | 2023.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