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MMPI의 일반적인 해석과정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MMPI의 일반적인 해석과정

by &@#*$ 2023. 4. 29.

MMPI는 성격 및 정신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표준화된 심리검사로서 다양한  심리적 문제, 성격, 정신 질환 및 진단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MMPI의 해석은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므로 전문가의 지도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MMPI의 일반적인 해석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제1단계 - 검사태도에 대한 검토

① 검사태도를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으로 평가하는데 양적 측면은 타당도척도(? 척도, L척도, F척도, K척도)의 점수에 기초하여 검토하며, 질적 측면은 검사완료에 소요되는 시간, 검사 수행 시의 구체적인 행동 등을 토대로 판단하게 된다.
② 척도에서 30개 이상의 문항을 누락하거나 양쪽 모두에 응답하는 경우 프로파일은 무효로 간주되며, L척도의 T점수가 70 이상 높은 경우 자신의 문제를 부인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F척도에서 80 이상 높은 경우 자신의 문제를 부인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F척도에서 80 이상 높은 경우 고의적인 과장이 의심되며,  K척도에서 70 이상 높은 경우 방 또는 억압 성향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③ 검사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2시간 이상인 경우 우유부단한 성향이나 강박증이 의심되며, 검사와 관련하여 불필요한 행동은 해석의 유효한 보조적 자료가 될 수 있다.

 

제2단계 - 척도별 점수에 대한 검토

① 수검자에 대해 해석될 수 있는 의미를 검토하기 위해 타당도 척도와 임상척도를 검토한 점수의 척도 상승 정도를 파악한다.
② 각 척도가 정상 또는 비정상 범위에 속하는지, 수검자의 성별이나 연령, 교육 수준, 병리증상 등을 고려할 때 가장 유력한 해석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가설들을 만들어 본다.
③ 일반적으로 척도 점수가 상승할수록 해당 척도와 관련된 문제들의 심각도 또한 커지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제3단계 - 척도 간 연관성에 대한 검토

① 앞서 특정 개별척도의 점수에 관한 가설들을 종합한 후 그것을 토대로 다른 척도와의 연관성이나 인과성 정도를 분석한다.

② 각 척도의 점수 범위가 의미하는 바와 함께 그것이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가설들을 종합함으로써 특정 척도의 점수를 토대로 다른 척도에 대한 예측을 시도한다.
③ 예를 들어, 다소 내향적이고 억제적인 성향과 연관된 척도 2 D(Deprssion, 우울증)가 상승하는 경우, 다소 외향적이고 충동적인 성향과 연관된 척도 9 Ma(Hypomania, 경조증)의 점수가 낮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제4단계 - 척도 간 응집 및 분산에 대한 분석
① 척도 간의 응집이나 분산을 구분하여 그에 적합한 해석상의 가설을 형성한다.
② T점수가 70 이상으로 상승하는 임상척도로서 가장 높은 2개의 척도를 하나의 상승척도쌍으로 묶어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③ 척도의 동반상승은 물론 척도의 분산도 중요하다. 척도 간 분산이 크면 클수록 상승된 척도들이 나타내는 특징이 보다 뚜렷해진다.

제5단계 - 낮은 임상척도에 대한 검토
①  상승척도쌍이나 높이 상승된 척도에만 주의를 기울여서는 안 된다. 즉, 점수가 매우 낮은 임상척도에 대해서도 검토해야 한다.
② 표준적인 프로파일은 T점수가 50의 범위이며, T점수가 30~70인 경우 '정상'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만약 어떠한 프로파일이 정상 범위의 하한선에 위치한 경우, 오히려 수검자의 벙적 상태를 나타내는 등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것일 수 있다.
③  다만, 낮은 점수가 반드시 높은 점수와 상반되는 측면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낮은 점수 나름대로의 특별한 의미가 있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제6단계 - 형태적 분석
① 타당도 척도 및 임상척도들을 집단으로  묶어 형태분석을 수행한다.
② 3개 척도의 상승 정도는 물론 다른 척도 집단과의 상대적인 차이를 고려하며, 세 쌍 내에서 각 척도의 상대적인 상승 정도 또한 고려한다.
③  척도 형태 내에서 각 척도의  상승 정도에 따른 임상적 행동적  특성을 고찰한 후 이를 전체적인 척도 형태의 해석으로 종합시키며, 이와 같은 형태분석을 통해 얻어진 추론들이 수검자의 개인적 신상자료 등 지금까지  알려진 다른 정보들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토한다.
 
제7단계 - 전체 프로파일 형태에 대한 분석
①  타당도 척도 및 임상척도들의 전체 프로파일에 대한 형태분석을 수행한다.
② 프로파일의 상승도, 기울기, 굴곡 등과 수검자의 개인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총체적 통합적인 해석을 내린다.
③  MMPI 프로파일의 기울기에 대한 해석은 신경증과 연관된 3개 척도(척도 1, 2, 3)와 정신병과 연관된 4개 척도(척도 6, 7, 8, 9) 간의 관계를 토대로 한다. 즉, 정적 기울기는 정신병 관련 척도의 상대적인 상승에 따른 현실과의 관계 손상, 충동통제력 제한 등을 의미하는 반면, 부적 기울기는 신경증 관련 척도의 상대적인 상승에 따른 정신병적 왜곡현상이 없는 다양한 신경증적 상태(예- 불안, 우울, 무력감 등)를 의미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