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PI-2는 종합적인 심리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 다양한 척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MMPI-2의 다섯 가지 주요 척도인 타당도 척도, 임상척도, 내용척도, 보충척도, PSY-5 척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타당도 척도
① 성실성
- 문항 내용과 무관한 응답을 평가하는 척도
- ? 척도(무응답 척도, Cannot Say) : 응답하지 않거나 '그렇다', 또는 '아니다'로 모든 문항에 응답한 항목들의 총합이다.
- VRIN 척도(무선반응 비일관성 척도, Validity Response INconsistency) : 수검자가 무작위로 응답하는 경향을 탐지한다.
- TRIN 척도(고정반응 비일관성 척도, True Response INconsistency) : 수검자가 모든 문항에 일관된 반응을 보이는 경향을 탐지한다.
② 비전형성
- 문항 내용과 연관된 왜곡응답을 평가하는 척도
- F척도(비전형 척도, Infrequency) : 검사 문항에 대해 정상 응답 패턴에서 벗어나는 응답을 말한다.
- FB척도(비전형-후반부 척도, Back inFrequency) : 검사 과정에서 수검자의 응답 태도의 변화를 탐지한다.
- FP척도(비전형 -정신병리 척도, inFrequency Psychoathology) : F척도의 상승이 정말로 정신과적 문제인지 아니면 의도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것인지를 탐지한다.
- FBS 척도(증상타당도 척도, Fake Bad Scale) : 개인상해 소송이나 신체장애 판정과 관련하여 의도적으로 부정적인 모습(꾀병)을 보이는 경향을 탐지한다.
③ 방어성
- 과소보고 경향을 탐지하는 척도
- L척도(부인 척도, Lie) : 수검자가 자신을 좋게 보이려는 의도적이고 부정직한 태도를 탐지한다.
- K척도(교정 척도, Correction) : 정신적인 장애를 명백히 가지고 있으면서도 정상적이게 프로파일을 보이는 사람들을 알아내기 위한 것으로서 자신의 심리적인 약점에 대한 방어적인 태도를 감지한다.
- S척도(과장된 자기 제시 척도, Superiative Self-presentation) : 수검자가 자신의 도덕적 결함을 부인하고 과장된 방식으로 표현하는 경향을 탐지한다.
임상척도
① 척도 1 Hs(건강염려증) : 수검자의 신체적 기능과 건강에 대한 과도하고 병적인 관심을 반영한다.
② 척도 2 D(우울증) : 검사 수행 당시 수검자의 우울한 기분 상태를 반영한다.
③ 척도 3 Hy(히스테리 : 현실적인 어려움이나 갈등을 피하기 위해 부인기제를 사용하는 성향과 정도를 반영한다.
④ 척도 4 Pd(반사회성) : 반사회적 일탈행동, 권위적 대상에 대한 불만, 반항, 적대감, 충동성 등을 반영한다.
⑤ 척도 5 Mf(남성성-여성성) : 남성성 혹은 여성성을 반영한다.
⑥ 척도 6 Pa(편집증) : 대인관계에서의 민감성, 의심증, 집착증, 피해의식, 자기 정당성 등을 반영한다.
⑦ 척도 7 Pt(강박증) : 심리적 고통이나 불안, 공포,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의심과 회의, 강박관념의 정도를 반영한다.
⑧ 척도 8 Sc(정신분열증) : 정신적 혼란과 불안정 상태, 자폐적 사고와 왜곡된 행동을 반영한다.
⑨ 척도 9 Ma(경조증) : 심리적 정신적 에너지의 수준, 사고나 행동에 대한 통제 수준을 반영한다.
⑩ 척도 0 Si(내향성) : 사회적 활동 및 사회에 대한 흥미 정도, 사회적 접촉을 피하는 정도를 반영한다.
내용척도, 보충척도, PSY-5 척도
구분 | 하위척도 |
|
내용척도 | * 불안 * 강박성 * 건강염려 * 분노 * 반사회적 특성 * 낮은 자존감 * 가정 문제 * 부정적 치료 지표 |
* 공포 * 우울 * 기태적 정신상태 * 냉소적 태도 * A유형 행동 * 사회적 불편감 * 직업적 곤란 |
보충척도 | * 불안 * 사회적 책임감 * 적대감 * 중독 인정 * 남성적 성역할 *결혼생활 부적응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MacAndrew의 알코올 중독 |
* 억압 * 지배성 * 대학생활 부적응 * 적대감 과잉통제 * 중독 가능성 * 여성적 성역할 |
PSY-5척도 | * 공격성 * 통제 결여 * 내향성/ 낮은 긍정적 정서성 |
* 정신증 * 부정적 정서성/신경증 |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정 표현으로 자아를 강하게 하는 법 (0) | 2023.07.09 |
---|---|
질투형 망상 장애를 비롯한 망상 장애의 종류 (0) | 2023.06.26 |
자기결정성 이론에서 상정하는 동기조절의 유형 (0) | 2023.06.24 |
성장을 위한 도전 : 자기 효능감 높이는 방법 (0) | 2023.06.21 |
가족치료 중 이야기 치료의 기법 "정의예식" (0) | 2023.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