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당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제대로 반영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어떤 측정수단이 조사자가 의도하지 않은 내용을 측정하는 경우 이 수단은 타당하지 못한 것이 됩니다. 사회과학 영역에서 특히 타당도가 문제시되는 이유는 측정을 간접적으로 할 수밖에 없는 사회과학 고유의 특성 때문입니다.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과 타당도의 제고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내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
① 성숙요인(시간의 경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조사대상 집단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의 변화 또는 실험기간 동안 나타나는 실험집단의 성숙이 결과변수(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친다.
② 역사요인(우연한 사건)
조사기간 중에 연구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일어난 통제 불가능한 사건이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친다.
③ 선별요인(선택요인)
프로그램 집행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결과변수에 대한 측정값의 차이가 프로그램 집행의 차이라기보다 단지 두 집단성원들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다.
④ 상실요인(실험대상의 탈락)
프로그램 집행기간 중 관찰대상 집단 일부의 탈락 또는 상실로 인해 남아있는 대상이 처음의 관찰대상 집단과 다른 특성을 갖게 된다.
⑤ 통계적 회귀요인
극단적인 측정갑을 갖는 사례들을 재측정 할 때, 평균값으로 회귀하여 처음과 같은 극단적인 측정값을 나타내 보이지 않는다.
⑥ 검사요인(테스트 효과)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에 유사한 검사를 반복하는 경우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시험에 대한 친숙도가 높아져서 측정값에 부적절한 영향을 미친다.
⑦ 도구요인
프로그램 집행 전과 집행 후에 측정자의 측정기준이 달라지거나 측정수단이 변화함에 따라 정책효과가 왜곡된다.
⑧ 모방(개입의 확산)
분리된 집단들을 비교하는 조사연구에서 적절한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상호 교류에 의해 실험집단의 영향이 통제집단에 이식될 수 있다.
⑨ 인과적 시간-순서(인과관계 방향의 모호성)
변수들 간의 시간적 우선성이 모호한 경우, 원인변수와 결과변수 사이의 인과관계의 방향을 결정하기가 곤란하다.
외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
① 연구표본의 대표성
조사연구의 제반 조건들이 모집단의 일반적인 상황과 유사해야 실험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다.
② 조사반응성(반응효과)
연구자가 관찰하는 동안 조사대상자가 연구자의 바람에 따라 반응하거나 스스로 조사대상임을 의식하여 평소와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경우 일반화의 정도는 낮아진다.
타당도의 제고방법
① 내적 타당도의 제고방법
- 무작위할당 : 연구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작위로 배치함으로써 두 집단이 동질적이 되도록 한다.
- 배합 : 연구주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변수들을 미리 알아내어 이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동일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 통계적 통제 : 실험설계를 통해 통제할 필요성이 있는 변수들을 독립 변수로 간주하여 실험을 실시한 다음,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변수의 영향을 통제한다.
② 외적 타당도의 제고방법
- 모집단에 대한 타당성 : 표본의 대표성을 높이는 방법으로서, 표본자료가 모집단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 파악한다.
- 환경에 의한 타당성 : 연구 결과가 연구 환경을 벗어나 보다 현실적이면서 다양한 환경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상담의 특징과 기본 개념, 초기 가족상담 모델, 후기 가족상담 모델 (0) | 2023.01.28 |
---|---|
심리검사의 유형(표준화검사, 투사기법, 평정척도) (0) | 2023.01.27 |
심리검사의 시행과 심리검사 결과 해석 (0) | 2023.01.25 |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신뢰도의 제고방법 (0) | 2023.01.24 |
벤더의 주의력 집중을 위한 10가지 기법 (0) | 2023.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