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가족상담의 특징과 기본 개념, 초기 가족상담 모델, 후기 가족상담 모델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가족상담의 특징과 기본 개념, 초기 가족상담 모델, 후기 가족상담 모델

by &@#*$ 2023. 1. 28.

가족상담의 특징과 기본 개념을 알아보고 가족상담을 다세대모델, 구조적 모델, 경험적 모델, 전략적 모델의 초기 가족상담 모델과 해결지향 모델, 해결중심모델, 이야기치료, 협력 언어체계 모델의 후기 가족상담 모델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합니다.

가족상담의 특징

① 가족구성원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존재로 보고, 상담자가 전문적인 위치에서 상담과정을 지시하기보다 구성원의 경험세계와 구성원 가족의 상호작용을 존중하면서 상담을 진행한다.

② 가족구성원이 단위가 되지만, 문제나 증상을 가지고 있는 가족 구성원만 대상이 되거나 가족 전원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며, 현재 문제와 관련된 상호작용 양상을 바꾸는 데 꼭 필요한 가족원을 대상으로 한다.

③ 가족상담이란 가족을 별개의 독립된 존재가 아닌 하나의 체계로 보며 그 체계 속에 있는 한 개인의 상호교류 양상에 개입함으로써 개인의 증상이란 행동에 변화를 가져오도록 추구하는 접근방법이다.

④ 개인대상 가족상담의 경우, 개인 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점에서 개인상담과 유사하지만, 가족체계의 일부로 개인을 이해하고 체계 맥락과 순환적 관점에서 문제를 진단하고 개입하며, 개인의 변화를 통한 가족체계의 변화를 목표로 한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가족상담의 기본 개념

고무울타리 

개인이 정체성과 독자성을 억제하고 가족이 함께 해야 한다는 믿음으로 가족의 담장을 늘여가는 관계이다. 겉으로는 가족 간에 갈등이 없지만 내면적으로는 갈등이 존재하는 이중구조로 인해서 가족구성원들은 비현실성을 가지며, 결국 정신분열증으로 발전한다.

경계선 

분명하고 명료한 경계선을 주로 하는 가족은 정상적인 가족이지만, 애매한 경계선을 주로 하는 가족은 가족체계에 참가하는 것에 대한 규칙이 애매하기 때문에 그 구성원은 모든 문제에 관하여 서로가 지나치게 얽혀서 필요 이상으로 관여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족을 일반적으로 '밀착된 가족'이라고 한다. 반대로 경계선이 불변하고 견고하여 경직된 경우 가족은 뿔뿔이 흩어져 버리는데 이러한 가족을 '격리된 가족'이라고 부른다.

부적 피드백

피드백은 체계 유지를 위해 가해지는 부적 피드백과 체계를 변화시키려는 방향으로의 정적 피드백이 있는데, 정적이거나 부적이라는 개념은 가치판단을 의미하는 용어가 아니므로 비윤리적이라는 말은 틀린 용어이다. 가족체계에서는 상황에 따라 부적 피드백과 정적 피드백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계의 전체성

체계가 하나의 전체로 존재하고 작동하는 것을 말한다. 미누친은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고 가족 내 하위체계 간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체계 간의 상호관계가 적절히 조절되지 않을 때 가족갈등이 야기된다고 보았다.

유기체의 동일 결과성

똑같은 출발에서 다양한 결과에 이르는 것을 '동일 잠재성'이라 하고, 다양한 출발에서 동일한 결과에 이르는 것을 유기체의 '동일 결과성'이라고 한다.

초기 가족상담 모델

다세대모델(보웬, 맥골드릭&카터, 보조르메니-나지 등)

개인의 정신 내적 과정에 초점, 가계도, 치료적 삼각관계, 코칭 등의 기법 사용

경험적 모델(위터커, 켐플러, 사티어 등)

치료과정에서의 경험에 초점, 가족조각, 가족인형극, 가족미술치료, 가족 합동화 그리기 등의 기법 사용

구조적 모델(미누친, 몬탈보, 로스먼, 아폰테, 피시먼 등)

가족구조에 초점, 비행청소년, 식이장애, 약물중독, 알코올중독 가족에 효과, 합류, 구조적 지도, 가족 재구조화 기법을 주로 사용

전략적 모델(헤일리, 밀란학파)

치료기법의 고안에 중점, 역설적 개입, 긍정적 의미부여, 의식기법 등 사용

 

후기 가족상담 모델

 

해결지향 모델(오한런)

문제를 개인이 정의하는 의미체계로 인한 것으로 봄. 선다형 질문, 문제의 정상화, 방향 틀어 요약하기 기법, 내담자의 관점 수용(활용), 분명하거나 상식적 제안, 의문 던지기, 미래에 초점두기 기법 드의 개입

해결중심 모델(드쉐이저 &버그)

내담자 중심으로 해결에 중점, 내담자의 장점이나 건강한 특성을 활용하며, 치료자와 내담자 간 협력관계를 중시함, 해결지향적 질문(상담 전 변화에 관한 질문, 예외질문, 기적질문, 척도질문, 대처질문, 관계성질문, 악몽질문, 간접적 칭찬, 그 외에 또 무엇이 있습니까? 질문)과  치료적 피드백의 메시지를 사용

이야기치료(화이트, 엡스턴) : 정의예식과 외부증인 집단 등의 기법 사용 

협력 언어체계 모델(앤더과 굴시안) : 내담자와의 협력적 대화를 통하여 새로운 의미를 찾는 과정에 중점, 반영팀을 주요 기법으로 활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