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청소년기 발달의 특징(자아 중심성, 자아 정체성의 유형, 신체 성적 발달)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심리

청소년기 발달의 특징(자아 중심성, 자아 정체성의 유형, 신체 성적 발달)

by &@#*$ 2022. 6. 18.

청소년기는 성인으로 발달하는 과도기적 단계의 반영으로 정서의 변화가 많고 심하며 이성문제와 진학 문제 등의 다양한 선택과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자아정체감을 형성해 갑니다. 또한 신체 변화에 대한 심리적 반응으로 신체상을 가지게 되는데 자신의 신체에 대한 평가 및 타인의 반응에 의해 크게 좌우됩니다. 질풍노도의 시기 청소년기 발달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자아 중심성


① 개인적 우화

자신은 특별하고 독특한 존재이므로 자신의 감정이나 경험세계는 다른 사람과 근본적으로 믿는 청소년기 자아 중심성의 한 형태이다. 청소년들은 자신의 우정, 사랑 등은 결코 경험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하며, 다른 사람이 경험하는 죽음, 위험, 위기가 자신에게는 일어나지 않으며, 혹시 일어나더라도 피해를 입지 않을 것으로 확신한다.

② 상상적 청중

청소년기의 과장된 자의식으로 인해 자신이 타인의 집중적인 관심과 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믿는 것이다. 청소년들은 상상적 청중을 즐겁게 하기 위해 많은 힘을 들이며, 타인이 눈치 채지도 못하는 작은 실수로 번민하게 된다. 상상적 청중에 대한 자신의 위신을 손상시킨다고 생각되면 작은 비난에도 심한 분노를 보인다.


청소년기 발달
청소년기 발달

 

청소년기 자아발달이론


① 블로스(Blos)의 적응체계 이론

  • 이차 개체화 과정 : 청소년의 자아가 부모로부터 이탈해가는 과정을 뜻하는 말이다. 이 이탈 과정 속에는 부모의 통제로부터 벗어나는 것과 더불어 부모에 대한 현실적이며 합리적인 평가가 포함된다.
  • 청소년기 이차 개체화는 부모에 대한 오이디푸스적인 집착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의미하므로 개인의 성적 정체성의 확립에 도움이 된다고 본다.

② 에릭슨의 정체성 위기 이론

  • 에릭슨은 성격발달을 일련의 위기극복과정이라고 주장하였다.
  • 자아정체성과 정체성 혼미 : 청소년기 자신의 이상적 자기상에 가지고 있던 많은 자아 기대를 포기해가는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수용함으로써 객관적인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게 된다. 이러한 정체성 탐색과정 중에 청소년들은 때때로 자신에 대해 절망하고 방황하며 동요하게 된다.
  • 심리적 유예기




③ 마샤(Marcia)의 정체성 지위 이론

  • 정체성 지위는 정체성 탐색과 위기를 경험했는가의 여부와 주어진 과업에 관여하는가의 여부의 두 개 차원의 배합에 의해 결정된다.
  • 위기란 자신의 현재 상태와 역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여러 대안적 가능성들을 탐색해보는 과정을 뜻한다.
  • 관여란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과 과업에 신념을 가지고 몰입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 정체성의 유형

정체성 혼미
삶의 목표와 가치를 탐색하려는 시도를 보이지 않으며, 자신의 생애를 계획하고 설계하려는 욕구가 부족하다. 이들 청소년들은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없거나 부모로부터 거부당한 것으로 느끼는 경우가 많고, 자아존중감이 낮으며, 흔히 혼돈과 공허감에 빠져 있다. 일정한 직업을 갖지 못하거나 지속적으로 일하지 못하는 성인들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다.

정체감 유실
충분한 자아정체성의 탐색없이 지나치게 빨리 정체성 결정을 내린 상태를 지칭한다. 정체성 위기를 경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삶의 목표를 확립하고 몰입한다. 이들은 흔히 부모가 기대하거나 선택한 생애과업을 대안적 가능성의 검토없이 수용한다. 다른 유형에 비해 사회적 인정의 욕구가 강하고, 자신이 지향하는 가치에 따라 생애의 방향을 결정하고 있으며, 부모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다. 부모의 과업을 물려받거나, 일찍 결혼하여 안정된 가정을 꾸려나가는 청년들에게서 가장 흔히 발견된다. 이들은 매우 안정적으로 보내는 것 같지만, 성인기에 뒤늦게 정체성 위기를 경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정체감 유예
삶의 목표와 가치에 대해 회의하고 대안들을 탐색하나,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에 머물러 구체적인 과업에 관여하지 못하는 상태를 뜻한다. 가장 적극적으로 정체성을 탐색하며, 유예기의 청년들은 안정감이 없으나 많은 경우 시간이 흐르면서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흔히 부모와 또래 관계에 있어서 애증이 교차하며 자신이 몸담고 있는 상황에서 긍정적인 요소보다는 부정적인 요소에 민감하고 잘 식별해낸다.

정체감 성취
네 개의 정체성 지위 중 가장 앞선 단계이다. 자아정체감이 성취된 청소년들은 삶의 목표, 가치, 직업, 인간관계 등에서 위기를 경험하고 대안을 탐색했으므로, 확고한 개인적 정체성을 갖게 된다. 부모를 포함한 인간관계에 있어서 현실적이고 안정되어 있으며, 자아존중감이 높고,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도 높다.

 

청소년기 신체 및 성적 발달


① 성장 급증기
성인이 된 후 키의 98%가 자란다. 개인차가 있긴 하지만, 여아는 대체로 10세경에 시작되며, 남아는 12세 경에 시작된다.

② 13세부터 남아의 급격한 신체 발육이 시작되면서, 성별 간 격차가 점차 벌어지게 된다.

 

청소년기의 다양한 모습
청소년기의 다양한 모습


③ 가속화 현상
사춘기 신체 발육과 성적 발달을 포함하여 성장률은 해가 갈수록 높아지는 현상을 보인다.

④ 성적 발육
사춘기에는 성호르몬의 분비로 인해 성적 발육이 시작되며, 발달 속도는 개인차가 있지만, 발달의 순서는 비교적 고정적이다.

⑤ 사춘기 성장은 대체로 2년 동안 계속되며, 난자와 정자를 배출할 수 있게 되면 성장이 완성된다.

  • 여아 : 유방의 발육이 가장 먼저 시작되고, 음모가 자라기 시작하며, 신장과 체중의 발육 급증이 나타나고 마지막으로 초경이 있게 된다. 여아의 99%는 신체적 급성장 후 초경이 시작된다.
  • 남아 : 고환의 발육이 먼저 시작되고, 음모가 자라며, 고환의 발육이 계속되고, 음경이 커지며, 몽정이 있고 신체 발육의 급증이 뒤따른 후 변성이 나타나고, 마지막으로 체모가 자라기 시작한다.


사춘기 신체적 성숙의 영향

① 남아의 조기 성숙
긍정적 신체상을 증대하며 사회적 적응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친다.

② 남아의 늦은 성숙
안정감이 없고, 초조하며, 타인의 관심을 끌려는 경향이 있다. 사회적으로 부적감과 열등감이 높다.

③ 여아의 조기 성숙
문제행동 경향이 보다 높으며, 이성관계에 빨리 몰입하기 쉽다. 빠른 신체적 발달과는 달리 사회적 및 인지적 성숙도가 낮으므로 자신의 생애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력을 고려하지 못한 채 쉽게 문제행동으로 빨려 들게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