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샤 잉크 반점 검사(Rorschach Ink Blots)는 15세기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시각이나 상상을 자극하는 데 추상적인 도형을 사용한 데서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1895년 Binet 지능검사를 고안하는 과정에서도 이용되었습니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투사법 검사로 1921년 스위스 정신과 의사인 헤르만 로르샤흐(Hermann Rorschach)가 개발했으며, 정신분열증 진단뿐 아니라 개인 성격의 여러 차원들(인지, 정서, 대인관계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정보를 주고 있습니다.
검사도구
① 종이의 한 면에 잉크를 놓고 반으로 접어 잉크 반점을 만든 것을 검사자료로 제시하고 피검자가 그 잉크 반점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이야기하도록 하여 그의 성격을 평가한다.
② 검사도구는 잉크 반점이 찍힌 10장의 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Ⅰ,Ⅳ,Ⅴ,Ⅵ, Ⅶ 카드는 무채색 카드이며 Ⅱ, Ⅲ 카드는 검은색과 붉은색이 혼합되어 있고,Ⅷ, Ⅸ,Ⅹ은 여러 가지 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카드는 체계화되어 있지 않으며 불분명하고 정형화된 의미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검사의 시행
로샤 검사는 아무런 제약을 가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피검자는 여러 가지 의문을 갖기 쉽다. 가령 "시간제한이 없는가?", "카드를 돌려 보아도 좋은가?", "그림의 일부만을 보아도 좋은가?" 등 질문이 있을 때에는 검사자는 이 테스트는 일체의 제약이 없으며 피검자 마음대로 해도 좋다는 점을 되풀이해서 말해주면 된다. 제일 처음부터 카드를 회전하여 보아도 좋다든지, 전체로 보거나 부분으로 보거나 해도 좋다든지의 말을 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시간의 제한도 주지 않고 자극 도형만을 일정한 것으로 하고 나머지는 피검자의 자유에 맡기는 것이 이 테스트의 특징이며 강점이다.
① 자유 반응 단계(Performance proper)
지시문 지금부터 당신에게 10매의 카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이것은 잉크를 떨어뜨려 우연히 이루어진 모양이기 때문에 무엇으로 보여도 관계없습니다. 이것이 당신에게 무엇으로 보여지는지 무엇과 같이 생각되는지를 말씀해 주십시오. 그러면 지금부터 한 장씩 드리겠습니다. 될 수 있는 한 두 손으로 잡고 자유로이 봐 주십시오. 무엇으로 보여도 괜찮으니 무엇이 보이게 되면 주저함 없이 그대로 말씀해 주십시오. |
피검자로부터 자유스럽고 자발적인 응답을 얻어 내도록 노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얻은 반응이 이 테스트의 기초적인 자료가 된다. 따라서 검사자는 결코 암시적이고 유도적인 질문을 하거나 피검자의 언어적, 행동적인 모든 표현을 억제하는 일을 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이 단계에서 검사자가 할 일은, 지시를 주고 카드를 건네줄 때부터 "이젠 더 이상 아무것도 안 보입니다"라는 반응이 나올 때까지 반응시간을 재는 것이다.
피검자가 보이는 여러 불안이나 긴장에 대처하며 피검자의 여러 가지 질문에 답을 해 주는 역할도 필요하다. 피검자의 반응이 10분을 넘어설 때에는 "이 검사는 반응을 많이 한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등의 말을 하여 적절히 끝내야 한다.
② 질문 단계(Inquiry)
자유 반응 단계에서 얻어진 반응에 대하여 몇 개의 관점에서 질문을 해간다. 앞의 단계에서는 피검자가 자발적이었다면, 이 단계에서는 검사자의 일정한 질문에 답을 해야 한다. 그러나 검사자의 질문 양식은 비지시적이며 피검자의 자발적인 응답이 중심이 된다.
지시문 여러가지로 말씀해 주셨는데, 지금부터 그것이 카드의 어느 곳을 보였는지, 어째서 그와 같이 보였는지에 대해서 여쭈어 보겠습니다. 그러면 한 번 더 카드를 처음부터 1매씩 보여 드릴테니 저의 질문에 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질문 영역 * 반응은 카드의 어느 곳에 대해서 일어난 것인가?(반응영역) * 그 반응은 어떻게 해서 결정한 것인가?(반응결정요인) * 반응내용은 무엇인가?(반응내용) |
③ 한계 음미 단계(Testing the limit)
앞의 두 단계는 생략해서는 안 되지만 이 단계는 시간적 여유가 없거나 검사자가 기능이 숙달되지 못했을 때, 또는 재검사가 필요한 경우 등에는 생략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의문을 직접적으로 물어볼 수 있지만, 이 단계에서 얻은 응답은 해석이나 진단에 있어서 보조적인 자료로만 활용된다.
예) 전체 반응만을 보고할 때 부분 영역 반응이 가능한가 어떤가를 음미한다.
엑스너(Exner)의 종합체계 방식에 따른 주요 채점 항목
1) 반응 영역 및 발달질
① "수검자의 주된 반응이 어느 영역에 대해 일어나고 있는가?" , "반응 영역에서 발달 수준은 어떠한가?"
② 검사자는 수검자의 반응 영역 자체를 평가하는 동시에 그와 관련된 인지적 활동을 평가한다.
③ 반응 영역에 대한 평가는 전체 반응(W), 흔한 부분반응 또는 보통 부분 반응(D), 드문 부분반응(Dd), 공백 반응 또는 간격 반응(S)으로 기호화한다.
④ 발달질에 대한 평가는 통합 반응(+), 모호 -통합 반응(v/+), 보통 반응(ㅇ), 모호 반응(v)으로 기호화한다.
2) 결정인
① "반응하기 위해 잉크 반점의 어떤 부분이 사용되었는가?", 반응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친 반점의 특징은 어떠한가?"
② 검사자는 수검자가 왜 그렇게 보았는지를 형태(Form), 운동(Movement), 유채색(Chromatic Color), 무채색(Achromatic Color), 음영(Shading) 형태 차원(Form Dimension), 쌍 반응 및 반사 반응(Pairs/Reflection) 등 7가지 범주의 차원에서 평가한다.
③ 특히 음영의 경우 재질, 차원, 확산의 3가지 하위 범주로 세분된다.
3) 형태질
① "반응이 잉크 반점의 특징에 얼마나 부합하는가?"
② 검사자는 수검자가 사용한 반점 영역의 형태가 지각한 대상의 형태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평가한다.
③ 우수 - 정교한(+), 보통의(ㅇ), 드문(u), 왜곡된( - )으로 기호화한다.
4) 반응 내용 및 평범 반응
① "반응은 어떤 내용의 범주에 포함되는가?"
② 검사자는 수검자의 반응이 동시에 하나 이상의 대상을 포함하는 경우 반응에 포함된 내용들을 모두 기호로 표시한다.
③ 수검자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반응을 평범 반응(Popular)이라고 하며, 이는 'P'로 기호화하여 반응 내용 기호 뒤에 기록한다.
5) 쌍 반응 및 반사 반응
① "사물에 대해 대칭적으로 지각하고 있는가?"
② 검사자는 수검자가 반점에 대해 대칭을 근거로 하여 반응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③ 쌍 반응 기호인 '(2)'는 다른 결정인과 형태질 기호의 오른쪽에 표시한다.
④ 반사 반응은 대상의 대칭성이라는 측면에서 쌍 반응과 동일하나 해당 대칭이 반사된 것 또는 거울상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6) 조직화 활동
① "자극을 어느 정도 조직화하여 응답하고 있는가?"
② 검사자는 수검자의 자극 영역을 조직화하려는 인지적 활동 수준을 Z점수로써 나타낸다.
③ 이 경우 반드시 형태가 사용되어야 하며, 반점들 간의 의미 있는 관계가 형성되어야 유효한 것으로 인정된다.
7) 특수 점수
① "어떠한 특이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가?"
②검사자는 특이한 언어 반응, 반응 반복, 통합 실패, 특수 내용, 개인적 반응, 특수 색채 반응 등의 항목에서 나타나는 수검자의 특징적 반응들을 계량화하여 평가한다.
※ 주의점
반드시 표준화된 절차를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해석에 있어서도 다양한 연구 결과나 경험 많은 임상가에 의하여 축적된 지식에 바탕을 두고 해나가도록 해야 한다. 가장 비판이 될 수 있는 검사자의 주관에 따른 해석을 하는 오류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로 의사결정 모델(기대 모델, 갈등 모델, 선택 모델) (1) | 2022.08.31 |
---|---|
정신역동적 가족치료(감정정화 기법, 대상관계이론, 가족 역동론) (0) | 2022.08.30 |
올포트의 특질이론(성격의 원리, 개인의 특질) (2) | 2022.08.26 |
가족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가족 사정 방법 (2) | 2022.08.25 |
현실 치료(인간의 5가지 기본욕구, WDEP단계, 3R) (1) | 2022.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