웩슬러 지능검사는 개인이 속한 연령집단에서의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근거로 하여 언어성 IQ와 동작성 IQ 간의 점수차를 이용한 해석이 가능합니다. 언어성 IQ와 동작성 IQ의 차이를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경학적 요인
대뇌반구에서 좌반구는 언어적 자극을 처리하는 데 우세한 반면, 우반구는 시, 공간적 자극을 처리하는 데 우세하다. 즉, 언어성 IQ가 동작성 IQ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뇌의 좌반구 손상 또는 우반구의 발달을 시사하는 반면, 동작성 IQ가 언어성 IQ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뇌의 좌반구 발달 또는 우반구의 손상을 시사한다.
의사소통상의 요인
수검자가 청각적, 음성학적 의사소통에 결함을 가지고 있는 경우 언어성 소검사의 수행에 어려움을 보인다. 특히 수검자가 외국에서 출생했거나 교육을 받은 경우 언어나 문화의 차이로 인해 어휘문제, 이해문제 등에서 부진한 결과를 보인다.
운동 협응능력의 요인
동작성 소검사는 운동 협응능력을 요구하므로, 동작성 IQ의 낮은 점수가 비언어적 사고능력의 결여보다는 운동 협응능력의 결함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시간제한의 요인
시간제한의 상황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는 수검자는 주어진 시간에 따라 과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이와 같은 경우 동작성 IQ는 언어성 IQ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장 독립성과 장 의존성
개인의 인지 양식(Cognitive Styles)은 상황적 환경에 대처하는 방식에 따라 자신의 내적인 단서에 의존하는 '장 독립성'과, 외적인 단서를 판단의 근거로 삼는 '장 의존성'으로 구분된다 장 독립성을 가진 사람의 경우 추상적, 이론적 측면에 대한 관심을 토대로 토막 짜기, 빠진 곳 찾기 등의 동작성 검사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수행 결과를 보이는 반면, 장 의존성을 가진 사람의 경우 사회적 참조체계를 토대로 언어성 검사에서 보다 높은 수행 결과를 나타낸다.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
인간의 지능은 유전적, 신경생리적 영향에 의해 발달이 이루어지는 '유동성 지능'과 교육이나 경험의 누적에 의해 형성되는 '결정성 지능'으로 구분된다. 특히 언어성 지능은 결정성 지능과 연관되며, 학업 성취도가 높은 학생의 경우 언어성 IQ가 동작성 IQ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유용한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등감 극복 방법과 열등감을 극복한 유명인 (0) | 2023.03.10 |
---|---|
의존심이 강한 아이의 문제행동 원인, 특징, 대처방법 (0) | 2023.03.06 |
자기중심적이고 고집이 강한 아이의 문제 행동의 원인, 특징, 대처방법 (0) | 2023.03.02 |
용기없고 두려움이 많은 아이의 문제행동의 원인, 특징, 대처방법 (0) | 2023.02.28 |
웩슬러 지능검사의 양적 분석에 포함되는 내용 (0) | 2023.02.27 |
댓글